2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무창춘(穆長春) 인민은행 디지털화폐 연구소 소장은 최근 국제결제은행(BIS) 주최로 열린 화상회의에서 "디지털위안의 핵심 목표는 그들(알리페이와 위챗페이)에게 기술적인 문제가 생기더라도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모두가 전자 결제 시장에서 알리페이와 위챗페이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들 기업은 이미 전자 결제 시장의 98%를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 소장은 "중앙은행이 만일을 대비해,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디지털 화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초부터 디지털위안 개발에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해 발발한 코로나19 사태가 촉진제가 됐다. 사람들이 종이돈 사용을 꺼리게 된 데다가, 전 세계 경기 침체 속 양적완화 기조가 확산되면서다.
아울러 디지털화폐를 활용한 효율적인 통화정책 필요성도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디지털위안으로 자국 통화 영향력을 강화해 미국 달러 중심의 금융 체제에 도전하겠다는 정치적 의도도 깔려있다. 또 최근엔 민간 기업인 알리바바와 텐센트 양사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금융 인프라를 국가 주도로 재편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디지털 위안화를 공식 출시한다는 목표로 중국 전역에서 공개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엔 디지털 위안이 처음으로 기업간거래(B2B)에서도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