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접종, 벌써 한 달인데"…접종자 10명 중 3명은 거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충범 기자
입력 2021-03-31 17: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지난달 접종 시작 이래 1차 접종 완료 69.1%에 불과…국내 인구 대비로는 1.64% 수준에 그쳐

  • 초도 물량 대부분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불신 팽배…수급 문제 겹쳐 향후 접종률 더욱 낮아질 우려 제기

[사진=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한 달여 지났지만, 우선 접종자 10명 중 3명은 접종을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접종 백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해 끊임없는 안전성 논란이 불거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전 세계적으로도 코로나19 백신 수급의 불안정 상황까지 더해지면서, 정부가 목표로 내세운 연내 집단 면역 형성 스케줄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3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 1차 접종을 마친 접종자는 85만220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2~3월 우선 접종 대상자의 69.1%로, 대상자 10명 중 3명은 접종을 거부했다. 아울러 국내 인구(5200만명) 대비 접종률을 살펴보면 1.64% 수준에 그친다.

이들 누적 접종자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사람은 79만1454명이고, 화이자 백신을 맞은 사람은 6만748명이었다.

이와 별도로 전날 화이자 백신 2차 신규 접종자가 2034명 추가됐다. 화이자 접종자의 경우 2차 접종까지 완료한 사례를 더하면 총 8185명이다.

이렇듯 백신 거부 비율이 높은 것은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불거진 탓이 크다.

최근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안전성 논란을 비롯해 유럽에서 시작된 혈전 형성에 따른 사망 인과관계 등 소식이 연이어 전파되면서, 아스트라제네카 자체의 효능 진위 여부를 떠나 이에 대한 정서적 거부감이 국내 전반에 걸쳐 확대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 백신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백신 도입 초반부터 불거지다 보니 이에 대한 공포심을 느끼는 국민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특히 효능 측면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모더나나 화이자에 비해 변이 바이러스에 취약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정부가 목표치로 제시한 올해 11월까지 70%의 집단 면역 목표 달성도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매월 100%까지는 아니어도 90% 이상의 높은 접종률이 지속적으로 담보돼야 한다. 정부의 백신 종합 계획은 발표 당시부터 운용 계획이 매우 타이트하다는 지적이 잇따른 바 있다.

한 의과대 교수는 "정부의 백신 종합 계획이 발표 당시부터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생각을 했다"며 "연내 집단면역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주말을 빼고 하루 약 40만명이 톱니바퀴처럼 주사를 맞아야만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향후 백신 수급 문제로 접종률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부 국가의 경우 자국 내 물량 확보를 위해 '수출 중단' 카드를 앞세우는 등 국가 간 치열한 백신 확보전이 전개되고 있지만,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정부의 카드는 전무하다.

절대적인 물량 자체가 부족해 전체 접종률이 떨어지는 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미 공급 수급 상황으로 인해 당장 올해 2분기부터 접종률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추진단에 따르면 백신 공동구매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확보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이달 중순이 지나 국내에 들어올 전망이다. 이 백신 약 69만회분(34만5000명분)은 당초 31일 네덜란드 현지를 출발할 예정이었지만, 운송 개시 일정이 이달 셋째 주로 밀렸다. 구체적인 날짜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일정 연기와 함께 정부가 받게 될 물량도 43만2000회분(21만6000명분)으로, 당초 알려진 것보다 25만8000회분이 줄었다. 코백스로부터 추가로 받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41만1000회분(70만5000명분)은 이달 22일부터 운송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앞선 일정이 지연되면서 이 역시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천은미 교수는 "백신 수급이 늦어지는 만큼 전체 접종 사례 자체가 감소해 더욱 접종률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며 "백신 수급 문제를 감안해 2차 접종분을 1차 접종분으로 전환하는 방향도 하나의 대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