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도시농부' 텃밭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3가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1-04-05 09: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씨앗보다 모종 선택…아주심기 한 달 뒤부터 2~3회 웃거름

[사진= 농촌진흥청 제공]

최근 대파 가격 상승으로 ‘집에서 대파 키우기’ 열풍이 커지자 직접 채소를 길러 먹는 텃밭 가꾸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봄을 맞아 초보자들이 쉽게 키울 수 있는 실내외 텃밭 가꾸기 정보를 소개한다.
 
장소에 맞춰 작물 선택
 
텃밭은 주거 공간을 기준으로 실외와 실내 텃밭으로 나눌 수 있다. 실외 텃밭은 옥상, 화단 등 남는 공간을 활용한 텃밭과 공영·민영 도시농업농장에서 분양받는 텃밭 등이 있다. 실내 텃밭은 주거 공간 안에서 즐기는 베란다 텃밭이 대표적이다.

실외 텃밭은 온도, 바람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작물 종류에 따라 심는 시기를 달리해야 한다.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4월 중순에는 상추, 쑥갓, 근대, 케일 등 잎채소와 미나리, 부추 등 4월 하순에는 강낭콩, 비트, 토마토, 오이 등 5월 상순에는 가지, 고추, 고구마 등을 권한다.

실내 텃밭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실외보다 햇빛(광량)이 부족하므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이른 봄부터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화분이나 플라스틱 텃밭 상자 등을 이용해 상추, 청경채, 겨자채, 케일 등의 잎채소와 적환무, 부추, 쪽파, 바질, 루꼴라 등을 키우면 좋다. 관리가 쉬운 새싹보리, 새싹밀 등 새싹작물도 추천한다.
 
씨앗보다는 모종을

처음 텃밭 가꾸기에 도전하는 초보자는 씨앗(종자)보다는 모종을 구매해 재배하는 것이 좋다. 씨앗의 경우 아주심기 약 1∼2달 전부터 파종, 솎음작업 등 모 기르기(육묘)를 하는 어려움이 있음으로 건강한 모종을 구매해 이용하는 것이 수월하다.

모종은 봄과 가을에 구매할 수 있는데, 모종을 살 때는 잎이 깨끗하고 생기가 있으며 흰색 뿌리가 흙이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잘 감싸고 있는 것이 좋다. 물관리가 안 돼 많이 시들거나 뿌리 부분 흙이 바짝 마른 모종 등은 피해야 한다.
 
아주심기 후 물․거름 관리

실내외 텃밭에 아주심기를 할 때 흙(상토)은 모종의 뿌리 위쪽 표면이 살짝 보일 정도로 덮어준다. 이후 뿌리가 충분히 젖을 정도로 물을 충분히 준다.

보통 모종을 심은 뒤 뿌리가 충분히 내릴 때까지는 2일∼3일에 1번, 뿌리가 충분히 내린 뒤에는 일주일에 1번 정도 흠뻑 물을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작물이 자라면서 밑거름만으로는 양분이 부족하므로 아주심기 한 달 후부터 한 달 정도 간격을 두고 웃거름을 2회∼3회 정도 준다.

웃거름은 재배하는 작물의 ‘작물용 비료’ 또는 ‘웃거름용 비료’를 시중에서 구매해 사용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고농도의 비료가 작물에 직접 닿으면 해를 입기 때문에 약 15cm 떨어진 곳에 준다.

실내외 텃밭 만들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초보자를 위한 책자 ‘도시농업 농자재 정보’와 ‘베란다 텃밭 가꾸기’를 참고하면 좋다. 이 책자는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원문보기와 내려받기를 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