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지난해 11월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이임식'에 참석해 이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달 5일 마감한 한국전력 차기 사장 공모에 정 전 산업부 차관 등이 지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는 지난달 실시했던 사장 공모 지원자가 단 한 명 뿐인 것으로 파악되자, 재공모를 결정하고 29일 사장 모집 공고를 다시 냈다. 또 한전은 공모와 별개로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사장 후보 추천도 받았다.
임추위가 사장 재공모를 낸 배경에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이 작용했다. 이 법에 따르면 공기업 장은 임추위가 복수로 후보를 추천해 이 가운데서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의 심의·의결을 거쳐 뽑아야한다. 이후 선발된 후보자는 산업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구조다. 이 때문에 앞서 정 전 차관 단수 지원으로서는 임추위의 복수 추천 요건을 만족하지 못했다.
다행히 재공모를 실시한 결과 복수의 지원자가 등록하면서 서류 심사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정 전 차관이 지원한 것이 알려지자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는 이유로 지원자가 적었을 것이란 추측도 나온다. 또 4.7 재·보궐선거 등 정권 말기인 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에너지 정책의 경우 탈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야권 정치세력과 다양한 정쟁요소가 남아있고, 내년 한전공대의 개교를 위해 재원과 인력확보를 해결해야되는 점도 차기 사장의 숙제다.
한편, 정 전 차관은 서울 출신으로 경성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33회에 합격, 1990년 동력자원부에서 공직을 시작했다. 산업부 반도체전기과장, 에너지산업정책관, 자유무역협정정책관, 무역투자실장, 에너지자원실장 등 산업·통상·자원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