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발전과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세계적 과학기술인 육성을 위해 운영되는 과학기술 연구지원 공익사업이다.
기초과학 분야 연구과제에 선정된 곽준명 교수는 ‘식물 표피세포의 신규 형성 원인과 기전 연구’를 주제로 이번 사업을 진행한다.
곽 교수의 연구내용은 식물의 탈리지역에 존재하는 잔존 세포와 이탈 세포가 표피세포 등으로 신규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세포에 내재한 발달 프로그램의 작동원리 및 비활성화된 발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생명현상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소재 분야 연구에 선정된 조창희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의 라쉬바 엑시톤-폴라리톤 상태를 이용한 가변 양자 광원 연구’를 연구주제로 이번 사업을 진행한다.
조 교수의 연구내용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결정 구조를 조절해 극저온에서만 구동하는 양자통신용 광원을 상온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조 교수는 “양자 정보 기술은 향후 통신, 컴퓨팅, 센서 등의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며, 여기서 양자 광원 기술이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양자 정보 기술의 상용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번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에 상반기 1차 선정된 과제는 DGIST 곽준명 교수와 조창희 교수를 포함해 기초과학 13개, 소재 기술 7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7개 등 총 27개 연구과제로 연구비 464억원이 지원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