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에 울려 퍼진 총소리와 폭음이 거리 위 반(反) 쿠데타 시위대의 목소리를 집어삼키고 있다. 미얀마 군부가 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해 살상력이 높은 박격포까지 동원하고 있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인근의 바고시에서는 군부의 무자비한 진압 작전에 시위대 최소 82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또 숨진 이들의 시신을 군부가 돈을 받고 되돌려주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시신 장사' 의혹도 불거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현지매체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바고시는 지난 8일 밤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이어진 미얀마 군부의 발포에 쑥대밭이 됐다. 현지 주민들은 미얀마 나우에 "군부는 바고 동부에 있는 시위대 거점을 무너뜨렸으며, 군부 트럭을 막기 위해 모래주머니로 쌓은 바리케이드 주변에서 젊은 시위자들이 희생됐다"고 전했다. 한 시위자는 "대량학살(genocide)을 방불케 한다. 이들(군부)은 그림자만 보이면 총을 쐈다"고 말했다. 인권단체 정치범지원연합(AAPP)은 이날 바고 지역에서만 시위대 8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군부 쿠데타 이후 70일간 숨진 민간인 수가 누적 700명을 넘어선 가운데, 현지에서는 군부가 시신을 넘겨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한다는 의혹이 나왔다. CNN에 따르면, 미얀마 바고대학교학생연합은 페이스북에 ‘널리 알려주세요'(PLEASE SPEAK OUT)라는 제목의 글에서 미얀마 군부가 숨진 가족의 시신을 되찾으려는 이들에게 대가로 12만 짯(약 9만6000원)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AAPP도 공식 트위터에 "테러리스트들(군경)이 바고에서 숨진 영웅들의 시신을 돌려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들 주장에 힘을 실었다.
해당 글이 온라인상에 일파만파 퍼지자 트위터 등 SNS에는 "군부는 자신들이 죽인 시민들의 시신을 가지고 돈을 번다. 얼마나 잔인한가", "돈을 내지 못해 사랑하는 이들의 시신을 넘겨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미얀마 누리꾼들은 '바고 학살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이들이 울부짖는 사진을 퍼 나르며 군부 만행을 알리면서, 시신 반환에 돈까지 요구하는 극악무도한 행태라고 비난했다.
심지어 시신을 돌려받고 보니, 장기가 사라졌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네티즌들이 군부의 '장기 탈취 밀매' 의혹을 제기하며 올려놓은 사진에는 시신의 가슴 부위나 배 부위에 길게 봉합한 자국이 있다. 이를 본 시민들은 "학살도 모자라 시신으로 장사를 하느냐"며 군부에 진실을 밝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CNN은 해당 주장을 공식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라며 미얀마 군부에 답변을 요청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해당 글이 온라인상에 일파만파 퍼지자 트위터 등 SNS에는 "군부는 자신들이 죽인 시민들의 시신을 가지고 돈을 번다. 얼마나 잔인한가", "돈을 내지 못해 사랑하는 이들의 시신을 넘겨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미얀마 누리꾼들은 '바고 학살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이들이 울부짖는 사진을 퍼 나르며 군부 만행을 알리면서, 시신 반환에 돈까지 요구하는 극악무도한 행태라고 비난했다.
미얀마 군부의 강경 진압에 민간인들이 쓰러지고 있지만, 유엔이 실질적인 해결책은 내놓지 못한채 뒷짐만 지자 유엔의 무능력을 질타하는 '피켓 시위'도 등장했다. 한 미얀마 청년은 "70일 동안 단지 700명 죽었다. 천천히 해라, 유엔. 우리는 아직 (죽을 사람이) 수백만명이 남아 있다"는 내용의 피켓을 든 사진을 SNS에 올렸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 눈치 보기에 급급한 유엔을 조롱하는 반어적 표현으로, 두 국가는 미얀마 군부를 겨냥한 노골적 비판과 제재에 미온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국제사회는 내정 불간섭이라는 기본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미얀마의 정치적 화해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야지 함부로 참견하거나 압박해선 안 된다"며 미얀마 사태에 대한 유엔 개입을 사전 차단했다.
반면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관은 공식 트위터에 "우리는 군부가 민간인을 상대로 전쟁 무기를 사용해 발생한 인명 손실을 애도한다. 군부는 위기를 해결할 능력이 있으며, 폭력과 공격을 멈추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미얀마 군부에 구체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