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통3사는 읍·면 등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히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마련해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7월 CEO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9월부터 운영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TF’에서 기술 방식, 대상 지역, 서비스 제공 시기 등을 6개월 이상 논의하고 당정 협의를 거쳐 마련한 것이다.
5G 공동이용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 대상 지역은 인구 밀도, 데이터 트래픽 등을 고려해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을 대상으로 정했다. 해당 지역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가 거주하고 1㎢당 인구수가 약 92명인 곳이다. 이통3사가 각자 기지국을 구축하는 지역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이통사별로 SKT는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 내 읍·면에 지역망을 구축한다. KT는 강원도 일부,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경상북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커버한다. LG유플러스는 강원도 일부,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에 망을 설치하기로 했다.
5G 공동이용망 기술 방식은 기지국을 공동이용하는 MOCN(Mutli Operator Core Network) 방식으로 정했다. 과기정통부는 “이통사 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별의 코어망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면서 “조속한 5G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망 설계는 공동이용 지역 내 공통 품질 기준을 적용한다. 터널·도로 등 지형 특성에 따라 5G 장비를 맞춤형으로 설계할 계획이다. 고장·장애 등 문제 발생 시 이통3사가 운영하는 핫라인, 공동망 관리시스템을 통해 대응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사용량, 사별 구축 지역, 공동이용 지역 경계 지역에서 통신망 전환(단독망→공동이용망)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는 올해 상반기부터 공동망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품질·장애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 △통신장애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인터넷프로토콜(IP) 등 개발에 나선다.
올해 하반기 망 구축을 시작해 연내 시범 상용화할 예정이다. 시범 결과를 분석·평가해 망 안정화 등 필요한 조치도 수행한다. 궁극적으로 오는 2024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완료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농어촌 5G 공동이용이 안착할 때까지 공동이용 사전 준비부터 망 안정화, 상용화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농어촌 5G 공동이용은 국내 이통3사 간 바람직한 협력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번 공동이용 계획을 통해 도시·농촌 간 5G 격차를 해소하고 디지털 포용 사회의 초석을 놓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