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신선한 육류 생산에 높은 수준의 도축 시설 등 식품 인프라 확보는 필수다. 최근 2018년 사업비 1000여억원을 들여 설립한 전국 김제 FMC와 부경양돈조합, 대전충남양돈조합 등 최신 축산복합단지는 위생적인 시설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 안전한 제품을 생산한다. 하지만, 도축시설과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 가축전염병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전환이 시급하다.
특히, 대표적인 가축전염병인 구제역의 확산에 도축시설을 슈퍼 전파자로 인식하는 일부 주장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이 시각의 출발은 2014~2015년 구제역의 전국 확산 상황에 출입 빈도가 높은 도축시설의 역학조사 통계만을 부각한 것이 원인이다. 최근 구제역은 철저한 예방백신 접종에 따른 집단 면역 효과로 2018년 2건, 2019년 3건, 2020년 0건 등 철저히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백신 항체 양성률이 농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2014~2015년과 같은 대규모 확산 상황과는 엄연히 다르다. 실제로 2020년 구제역 항체 향상률은 돼지 기준 88.3%로 안정화를 이루고 있다. 대규모 발병 사태가 있었던 과거 특정 시기의 통계를 부각시키는 건 위험을 조장하는 행위다. 구제역은 사람과 동물에 같이 전염되는 인수공통 전염병도 아닌 만큼 사람에 대한 감염 가능성이 없다.
2014~15년 당시 185건의 발생 정보를 네트워크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단 1건의 경우를 제외하고 어떠한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축산물 생산과 관련한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는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축시설을 가축전염병 매개하는 시설로 추정하는 경향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이어 차단방역 과정에서 최신 도축시설과 그에 맞는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노후한 시설 개선뿐 아니라, 출하 차량의 세척과 소독 프로세스 등 방역 측면에서 관리를 체계적으로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현재 88%에 이르는 전국 63개 도축시설이 20년 이상 노후화가 심각해 신규시설 건립이 대한민국 축산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시급하다. 5년 이내 현대화된 도축 시설은 전국에 6개소로 10% 미만이다.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서도 개선책은 필요하게 보인다. 대한민국 인구가 가장 많은 수도 권역에 유럽 등 선진국 수준의 도축시설과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갖춘 신규 시설이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