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인민은행, 1년째 기준금리 동결…긴축엔 여전히 '신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예지 기자
입력 2021-04-20 11: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년물 LPR 전달과 동일한 3.85% 동결…5년물 LPR도 동결

[사진=바이두]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1년 연속 동결했다.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선회할 수 있다는 시장 우려를 상쇄시키는 모습이다. 

20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LPR이 전달과 같은 3.85%로 집계됐다고 공고했다. 5년 만기 LPR도 4.65%로 변동이 없다. 지난해 4월 이후 1년째 동결이다.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대신 LPR 금리로 대출금리를 조절하고 있어, LPR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 10월 이후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고 있다.

이번에도 LPR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인민은행이 지난 15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전달과 동일한 2.95%로 유지하기로 하면서다. 

MLF금리는 LPR과도 연동된다. LPR은 1년물 MLF에 은행 조달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을 가산해 산출하는 금리이기 때문에, MLF 금리를 내리면 LPR도 인하 수순을 밟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중국 통화정책이 긴축 기조로 전환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중국은 급격한 긴축 전환은 없으며, 온건한 통화정책을 유연하게 운영해 거시정책의 연속성·안정성을 유지할 것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쑨궈펑 인민은행 화폐정책국장은 은행 대출금리 지표인 LPR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통화공급량을 안정시킬 것이라고 언명했다. 

왕이밍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도 "통화정책이 유동성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풍부하게 유지해 신용 경색을 피함과 동시에 인플레 기대가 높아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민은행이 당분간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되는 이유다. 중국 신용평가사 둥팡진청의 왕칭 애널리스트는 "2분기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결정할 때 특정 시점의 물가 수준에 크게 좌우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단기적으로 정책 전환에 나설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인민은행이 당분간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