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단수된 스카이72…인천공항공사, '도로 통제' 카드 꺼내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동훈 기자
입력 2021-04-20 13: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공항공사 대 스카이72 갈등 '평행선'

  • 공사, 단수에 이어 단전 강행해

  • 스카이72 발전기 돌리다 '불'

  • 공사의 다음 카드는 도로 통제

  • "기본권 침해…불안감 증폭"

야간에 라이트를 켜고 운영 중인 스카이72(위), 전기가 끊긴 스카이72(아래)[사진=스카이72 제공]


'18일 스카이72골프클럽(골프장) 단전 조치.'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이다. 지난 1일 단수(중수도 중단)에 이은 단전 예고였다.

공항공사는 "전기사용약관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시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전기 공급을 즉시 정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제19조(사용자의 책임으로 인한 공급의 정지)를 설명했다. 제19조 4항에는 '실시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라고 적혀 있다.

이어 공항공사는 "스카이72가 4개월째 무단 점유 중이다. 지난해 10월 새로운 골프장 임대사업자로 선정된 KMH신라레저가 피해를 받고 있다. 무단점유 때문에 하루에 약 1억5000만원에 달하는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단수에 이은 단전 예고는 김경욱 공항공사장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는 지난 1일 스카이72 진입로에서 "국민의 재산이 사적 이익을 위해 악용되는 것을 바로잡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에 스카이72 측은 "단전 예고는 초법적인 갑질"이라며 반박하고, 공항공사의 초법적인 조치에 맞서 합법적 대응(형사 고소, 손해배상 청구 등)을 예고했다.

스카이72는 "양사 간 법적 소송 중인 상황에서 국민의 기본권인 전기로 위협하고 있다"며 "이는 '갑질'이다. 정당 행위로 포장하는 데 과연 공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인지 정당성에 의문이 생긴다. 약관(제19조 4항)은 사용자에게 통보도 없이 개정됐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불공정 약관으로 시정 조치를 받은 바 있다"고 말했다.
 

스카이72 골프장 무단 점유 규탄 기자회견에서 발언 중인 김경욱 공항공사장[사진=연합뉴스 제공]

스카이72 앞 도로[사진=이동훈 기자]

스카이72는 단전에 대비해 발전기를 준비했다. 클럽하우스 이용, 카트 충전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단, 야간 골프는 불가능해졌다. 골프장에 라이트(등)를 켜야 하는 데 필요한 전기의 양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골프장 이용에 불편을 겪은 내장객을 위해서는 골프장 이용료(그린피) 면제권 등을 주기로 했고, 야간에 일할 기회를 잃은 캐디에게는 캐디피를 지원하기로 했다.

스카이72는 공항공사의 강행으로 BMW드라이빙센터도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 공항공사는 즉각 "자사와 계약관계에 있는 곳의 영업 차질 우려에 대해서는 비도덕적 행태에 우려를 표명한다. 상수도 공급은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틀 뒤인 18일 자정. 환했던 스카이72에 어둠이 내려앉았다. 공항공사의 예고대로 전기가 끊긴 것이다.

이에 대해 스카이72는 "국민의 기본권인 전기 제공이 중단됐다. 스카이72 야간 골프와 드림골프연습장의 야간 운영도 중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카이72는 "단전으로 인한 피해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날 예정이다. 어떤 피해가 추가로 발생할지 현재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스카이72는 단전으로 일할 기회를 잃은 캐디들에게 캐디피를 지원할 계획이다. 1일 캐디피는 1000만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스카이72 골프장 화재[사진=연합뉴스 제공]


단전 첫날 오후 8시경, 스카이72가 준비한 자체 발전기 1대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에서 추정한 재산 피해는 약 245만원이다.

스카이72는 "공항공사의 단전으로 자체 발전기를 가동하다가 화재가 발생했다"며 "야간 골프 운영을 중단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스카이72 관계자에 따르면 자체 발전기로 전기를 돌릴 수 있는 시간은 5~6시간에 불과하다. 이후부터는 방범 및 화재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화재용 자동 물뿌리개(스프링클러) 등이 멈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스카이72 측은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야간에 발전기가 계속 돌 수는 없다. 캐디피 지원도 하루 1000만원씩 한 달이면 3억원이다. 야간 운영이 가능할 때까지 지원할 것"이라며 "단수·단전에 이어 '도로 통제'에 관한 이야기가 몇몇 매체를 통해 나오고 있다.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