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 한해 백신 스케줄을 수립하면서 내세웠던 연내 집단면역 목표 달성을 위해 백신을 조기에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또 미국에서 백신을 먼저 받고, 우리 정부가 추후에 이를 갚는 방식의 '백신 스와프' 카드도 추가로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계획 방안의 내용이 여전히 모호한 데다 스와프 문제에도 변수가 많아, 실제 연내 집단면역이 실현될지는 미지수라는 반응도 나온다.
2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올해 상반기 국민 12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고, 11월까지는 3600만명의 2차 접종을 마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백브리핑을 통해 "(올해 6월 안에) 12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이 마무리되면, 중증 진행 및 치명률이 떨어지면서 이후 어느 정도 여유 있는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며 "목표대로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 정부가 올해 안에 공급받기로 계약된 전체 코로나19 백신 물량은 1억5200만회분(7900만명분)이다.
정부는 미국과의 백신 스와프를 통해 새로운 활로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로서는 미국이 AZ 백신을 사용하지 않고 있어, 스와프 성공 시 이 백신의 교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문제는 정부가 강조한 계획에 있어 걸림돌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이다.
정부가 예고한 물량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모더나, 노바백스(각 2000만명분) 등 두 가지 종류 백신은 아직 초도 물량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미국 모더나사는 최근 미국 외 지역에 대한 백신 물량을 자국보다 약 1분기 정도 늦게 공급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미국에 2억회분을 선공급한 후 나머지 국가에 배분하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 백신을 하반기에나 받을 수 있다고 했지만, 경우에 따라 도입 시기가 한참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미국 보건 당국이 희귀 혈전증 사례가 발생한 얀센 백신에 대해 일시 접종 중단을 권고한 점도 변수다. 우리 정부가 선구매 계약을 맺은 얀센 물량은 600만명분에 달할 만큼 비중이 결코 낮지 않다.
정부가 새로운 카드로 제시한 백신 스와프에 대해 근원적 의문을 표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이날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지만 미국은 올해 여름까지 집단면역을 이루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를 위한 국내 백신 비축분에 여유가 없다는 입장"이라며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작년에 우리가 보여준 연대 정신에 입각해 현재 우리가 겪는 백신 어려움을 도와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감염내과 교수는 "정 장관 발언으로는 미국과의 백신 스와프 사안이 향후 순조롭게 풀릴지, 아닌지를 전혀 가늠할 수 없다. 방역 당국이 백신 계획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을 강조할 거라면, 스와프 문제가 매듭지어진 후 해도 늦지 않다"며 "게다가 미국의 반응만 살펴보면 스와프가 성사된다 해도, 우리가 유리한 입장에서 협상에 나서긴 어려워보인다"고 지적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미국과의 백신 스와프에 성공한다면 국내에 공급되는 백신은 반드시 화이자나 모더나여야 한다"며 "그런데 지난달 미국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백신 스와프 계약을 맺으며 AZ 백신을 공급한 전력이 있다. 굳이 스와프라는 어려운 절차를 밟아가면서까지 AZ 백신을 도입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