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청사에서 바라본 청와대 전경.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날 회의에서 민정수석실(공직감찰반), 국무총리실(공직복무관리관실), 감사원(특별조사국)은 역할을 분담해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들은 물론 전국의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직권을 남용한 인사 및 이권 개입 행위에 대해 집중감찰을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런 집중 감찰을 지원하기 위해 공직비위 집중 신고 기간을 두고 공직비위 신고센터를 운영해 유기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민정수석실은 앞으로 공직자 등의 비리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히 그 책임을 물어 공직기강을 확립하고, 더 낮은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공직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 전효관 청와대 문화비서관의 서울시 재직 당시 ‘일감 몰아주기’ 의혹 등이 불거지자 특별 감찰을 지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