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기술보증기금]
양기관은 우수기술을 보유하거나 기술이전을 계획하는 기업에 대해 지식재산공제제도를 소개하고, 공제가입을 확대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특허소송·심판 등 지식재산 분쟁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국내외 특허출원 비용과 지식재산 이전 사업화 관련 비용을 저리의 공제대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식재산공제는 국내외 특허소송과 해외출원 등으로 발생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 비용 부담·지식재산분쟁 리스크를 완화하고 해외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한 지식재산 금융제도로 지난 2019년 8월 기보와 특허청이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지식재산공제 가입기업은 △시중은행 적금보다 높은 수준의 부금이자율 △기술보증기금 보증료 감면 △부금납입액의 최대 5배 이내에서 지식재산비용 대출 △부금납입액의 90%까지 긴급 경영자금대출 신속지원 △무료 특허·법률·세무 등 자문서비스 제공 △특허청 출원 우선심사 신청시 관납료 무상 지원 △특허청 지원사업 가점부여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식재산공제는 상품 경쟁력에 힘입어 지난달말 현재 가입건수가 6100여 건으로, 공제가입총액은 2180억원, 부금납부누계액은 454억원에 도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