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바이오제약사 TG테라퓨틱스와 단일클론 항체치료제 우블리룩시맙의 위탁생산(CMO) 물량을 300억원 규모 추가 확대하기로 했다.
26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우블리룩시맙 위탁생산 수주 금액을 기존 241억원(2240만 달러)에서 300억원이 증가한 541억원(5030만 달러)로 정정 공시했다.
우블리룩시맙은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돼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패스트트랙을 적용 받고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뇌와 척수의 일부분이 손상을 입어 탈수질환과 흉터형성으로 이어지는 염증 질환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TG테라퓨틱스의 위탁생산 계약은 이번이 네 번째다. 양사는 지난 2018년 2월 우블리룩시맙에 대한 첫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으로 협업을 이어왔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포함해 세 차례에 걸쳐 위탁생산 물량을 확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TG테라퓨틱스가 우블리룩시맙 개발에 성공할 경우 확정 최소 보장계약금액은 2991억원(2억7810만 달러)으로 조정된다. 이후 고객사 수요가 늘어날 경우 최대 3716억원(3억4560만 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설비 투자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며 "전 세계 다발성경화증 환자에게 적시에 치료제를 제공해 인류의 더 나은 삶에 기여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TG테라퓨틱스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클 와이즈는 "최근 임상 3상에서 긍정적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우리는 필요한 물량을 재산정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덕분에 향후 전 세계 시장에서 우블리툭시맙의 예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우블리룩시맙은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돼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패스트트랙을 적용 받고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뇌와 척수의 일부분이 손상을 입어 탈수질환과 흉터형성으로 이어지는 염증 질환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TG테라퓨틱스의 위탁생산 계약은 이번이 네 번째다. 양사는 지난 2018년 2월 우블리룩시맙에 대한 첫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으로 협업을 이어왔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포함해 세 차례에 걸쳐 위탁생산 물량을 확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TG테라퓨틱스가 우블리룩시맙 개발에 성공할 경우 확정 최소 보장계약금액은 2991억원(2억7810만 달러)으로 조정된다. 이후 고객사 수요가 늘어날 경우 최대 3716억원(3억4560만 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다.
관련기사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설비 투자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며 "전 세계 다발성경화증 환자에게 적시에 치료제를 제공해 인류의 더 나은 삶에 기여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TG테라퓨틱스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클 와이즈는 "최근 임상 3상에서 긍정적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우리는 필요한 물량을 재산정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덕분에 향후 전 세계 시장에서 우블리툭시맙의 예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