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 낳던 홈쇼핑 계열사 지원군 노릇에 기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보미 기자
입력 2021-04-27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미지 확대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던 홈쇼핑업체가 치열해지는 경쟁과 계열사 지원군 노릇 탓에 지속성장에 대한 기로에 놓였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익을 내고는 있지만 수익성이 해마다 악화되고 있는 곳이 적지 않다. 정부가 인가해준 공적 채널로 특정 기업집단만 배를 불리는 바람에 애초 도입 취지와는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26일 홈쇼핑 업계에 따르면 GS홈쇼핑은 다음달 28일 주주총회를 열고 GS리테일에 흡수합병되는 안건을 의결한다. 이 합병이 끝나면 GS리테일은 존속회사로 남고, GS홈쇼핑은 해산할 예정이다. GS그룹은 두 회사를 합병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해 온·오프라인 통합 커머스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2025년까지 매출액 25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GS리테일과 GS홈쇼핑의 매출 합이 10조1000억원(각각 8조9000억원, 1조20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4년 내 매출을 약 2.5배 끌어올려야 하는 셈이다.

다만 홈쇼핑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이 재무적인 차원에서 봤을 때 GS홈쇼핑에 아쉬운 결정이라는 평가가 많다. 지난해 말 기준 GS홈쇼핑은 자본 총계 1조2440억원, 부채총계 3340억원으로, 부채비율이 27%에 불과하지만, GS리테일은 자본총계 2조6672억원, 부채총계 4조5016억원으로 부채비율이 169% 넘어서고 있어서다.

앞서 CJ오쇼핑이 이미 3년 전 GS홈쇼핑과 비슷한 전철을 밟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CJ오쇼핑은 2018년 7월 그룹 내 문화 콘텐츠와 미디어 사업을 영위하는 CJ E&M과 합병해 CJ ENM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다. 이후 CJ ENM 엔터부문 재무건전성을 크게 개선한 한편 투자재원 마련에 지대한 역할을 한 바 있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실제 합병 직전인 2017년 말 CJ ENM의 차입금 의존도는 46.29%에 달했지만, CJ오쇼핑의 탄탄한 현금창출력에 힘입어 CJ ENM은 지난해 9월 기준 차입 의존도를 17.5%까지 축소했다. CJ오쇼핑은 합병 전 5년 동안 연평균 1111억원의 영업현금흐름을 기록해왔다. 수익 창출 능력만 봐도 CJ오쇼핑은 합병 직전 해 224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홈쇼핑 업계 1위를 기록했으나 CJ E&M의 영업이익은 632억원에 그쳤었다.

문제는 이런 모습이 비단 CJ오쇼핑과 GS홈쇼핑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하림그룹의 NS홈쇼핑 역시 그룹에서 펼치는 신사업 투자에 끊임없이 지원하며 그룹사 캐시카우 역할을 자처 해왔다. 그룹 차원에서 공 들여온 종합식품단지 '하림푸드 콤플렉스' 조성은 NS홈쇼핑 자회사인 하림식품이 도맡았고, 첨단물류단지 구축을 위해 사들인 4525억원 규모의 화물터미널 부지도 2016년 NS홈쇼핑 자회사인 하림산업을 통해 사들였다. NS홈쇼핑은 지난해에도 하림산업(500억원), 글라이드(60억원), 엔바이콘(50억원)의 유상증자 전액을 책임졌다.

현대홈쇼핑 역시 그룹 차원에서 렌털·케어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2015년 자본금 600억원에 세운 현대렌탈케어 탓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대렌탈케어는 현대홈쇼핑의 100% 자회사로, 설립 이후 작년까지 5년 연속 적자를 냈다. 설립 첫해 영업적자는 62억원에 달했고, 2016년 210억원, 2017년 246억원, 2018년 231억원, 2019년 190억원, 2020년 17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현대홈쇼핑은 이 법인에 2017년 3월(400억원)과 12월(500억원), 2019년 2월(1000억원) 총 세 차례에 걸쳐 19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추가로 투입(유상증자)했다.

홈쇼핑 업체들이 아직까지는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지만, 그룹이 주도하는 투자에 주력하다 보니 정작 본업은 등한시돼 급변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작년 실적만 보면 5대 홈쇼핑업체(GS홈쇼핑, CJ오쇼핑, 현대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의 매출은 총 5조4099억원으로 1년 전보다 4.8%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총 6813억원으로 14.6% 증가했다. 5개 업체 가운데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해마다 늘어나는 TV 송출료와 미디어 환경 변화로 치열해지는 시장 상황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홈쇼핑업계는 2019년 매출의 49.6%를 송출 수수료로 지급했다. TV홈쇼핑 산업에서 전체 방송매출은 2009년에서 2019년까지 연간 약 7% 상승률에 불과하지만, 송출수수료는 연평균 16.6%씩 급증했다. 급성장한 비대면 쇼핑 시장 덕에 매출이 늘어도 영업이익률은 제자리걸음인 이유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가가 허가해준 공적 채널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그룹의 배를 불리는 데 쓰다 보니 정작 중기, 농수산 활성화 등 공적 목적에 소홀해지고 있다"며 "특히 본업에 대한 투자가 등한시되면서 비대면 시장은 커지는데, 대형 온라인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잃어갈까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