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급성 파종성 뇌 척수염으로 사지마비 증세가 온 것으로 알려진 40대 간호조무사에 대해 백신 접종과 인과성 판단을 보류하고 향후 자료 보완을 통해 추가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김중곤 예방접종피해조사반장은 26일 오후 충북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심의 내용을 공개했다.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은 지난 23일 기준 총 9차 회의를 개최했다. 사망 54건, 중증 45건 등 총 99건에 대해 심의를 했다. 지난 23일 제 9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사망 11건, 중증 11건 등 22건에 대한 심의가 이뤄졌다.
심의에는 접종 후 사지마비 증세가 온 40대 간호조무사 사례도 포함됐다. 앞서 방역당국은 이 환자의 최종 진단명을 확인하기 위해 약 1개월 후 추가 검진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반장은 "예방접종 후 신경학적 증상으로 급성 파종성 뇌 척수염 추정 진단을 받은 사례의 경우 자료 보완 후 재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검사가 남아있는 부분도 있는데, 지난 금요일(23일) 피해조사반 심의에는 그 자료가 준비되지 않았다"며 "자료를 보완한 이후 진단명을 더 명확히 한 다음에 접종과 인과성 평가를 하는 것이 절차상, 순서상 맞겠다는 의견이 있어서 보류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이 간호조무사는 접종 직후 일주일간 두통을 겪었고 지난달 24일에는 사물이 겹쳐 보이는 '양안복시' 증상을 겪었다. 이후 지난달 31일에는 병원 입원 후 사지마비 증상까지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 중 2건에 대해 접종 후 이상반응 인과성을 인정했다.
1건은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은 20대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사례다. 나머지 1건은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 저하 사례다.

26일 오전 광주 서구 한국병원에서 서부소방서 소속 소방대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이상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은 지난 23일 기준 총 9차 회의를 개최했다. 사망 54건, 중증 45건 등 총 99건에 대해 심의를 했다. 지난 23일 제 9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사망 11건, 중증 11건 등 22건에 대한 심의가 이뤄졌다.
심의에는 접종 후 사지마비 증세가 온 40대 간호조무사 사례도 포함됐다. 앞서 방역당국은 이 환자의 최종 진단명을 확인하기 위해 약 1개월 후 추가 검진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검사가 남아있는 부분도 있는데, 지난 금요일(23일) 피해조사반 심의에는 그 자료가 준비되지 않았다"며 "자료를 보완한 이후 진단명을 더 명확히 한 다음에 접종과 인과성 평가를 하는 것이 절차상, 순서상 맞겠다는 의견이 있어서 보류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이 간호조무사는 접종 직후 일주일간 두통을 겪었고 지난달 24일에는 사물이 겹쳐 보이는 '양안복시' 증상을 겪었다. 이후 지난달 31일에는 병원 입원 후 사지마비 증상까지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 중 2건에 대해 접종 후 이상반응 인과성을 인정했다.
1건은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은 20대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사례다. 나머지 1건은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 저하 사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