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중소형 아파트를 한 채 마련하는 데 필요한 돈이 평균 1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은 이미 11억원을 웃돌았다.
27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월간KB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4월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8658만원이었다. 2년 전 6억9422만원과 비교하면 42.1% 급등한 금액이다.
이 조사에서 중소형 아파트는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 주택형은 신혼부부부터 3∼4인 가구까지 선호하는 인기 면적이다.
지역별로는 강남권(한강 이남 11개구)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11억5153만원, 강북권(한강 이북 14개구)은 8억5432만원으로 조사됐다.
강남권 중소형 아파트값은 2018년 8월 8억원을 넘긴 뒤 1년 5개월 만인 지난해 1월 9억원을 돌파했고, 다시 1년 만에 11억원을 넘겼다.
강북권의 경우 중소형 아파트값이 2019년 8월 평균 6억원대에 진입한 뒤 11개월 후 7억원을 처음 넘어섰고, 이후 6개월 만에 8억원을 넘겼다.
강남·북을 가리지 않고 최근 1∼2년 간 집값 상승세가 가팔랐음을 알 수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19년 5월 8억1700만원에 매매됐던 송파구 오금동 상아2차아파트 전용면적 84.98㎡가 지난 3일에는 12억8000만원에 실거래됐다. 2년 사이 4억6300만원 오른 금액이다.
강북권에서도 성북구 삼선동2가 삼선푸르지오 84.83㎡가 2019년 6월 6억2000만원에서 지난 3일 9억2000만원으로 3억원 올랐다.
소득보다 빠르게 오른 집값으로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은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중위소득은 234만원으로 전년 대비 14만원(6.3%) 오르는 데 그쳤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약 168만원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의 중간 주택값은 1년 사이 18% 뛰었다. 소득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3배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자 근로 소득자가 구매 가능한 서울 주택은 줄어들고 있다. 중위 소득 가구가 구입하기 적절한 주택 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주택구입물량지수(K-HOI)는 급격히 하락했다.
작년 말 서울 주택구입물량지수는 6.2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중위 소득 가구가 대출까지 활용해도 살 수 있는 아파트가 전체의 6.2%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