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밤 선종한 정진석 추기경은 42년간 청주교구·서울대교구장을 지낸 한국 가톨릭교회의 대표 인사다.
20년 가까이 교회법전을 번역하고 해설서를 펴내며 한국 가톨릭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천주교계에 따르면 1931년 12월 2일(호적상 7일) 서울 중구 수표동의 독실한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나흘만인 6일 ‘니콜라오’라는 세례명으로 유아세례를 받았다. 외할아버지가 당시 명동성당 사목회장이었을 만큼 집안 신앙생활은 깊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중앙중학교를 거쳐 6·25 발발 직전인 1950년 4월 서울대 화학공학과에 입학했다. 발명가와 과학자를 꿈꿨지만 전쟁은 그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놨다.
정 추기경은 1950년 9월 6촌 동생과 함께 은신해있던 집에서 잠이 들었는데, 그만 폭격으로 무너져내린 서까래에 동생이 숨지는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된다.
국민방위군으로 입대해서도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긴 정 추기경은 삶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됐다.
정 추기경이 사제가 되기로 한 데에는 책 한 권이 큰 역할을 했다. 그의 첫 번째 역서이기도 한 ‘성녀 마리아 고레티’이다. 정 추기경은 이 책을 계기로 사제가 되어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1954년 신학교에 입학한 그는 1961년 사제품을 받았다. 신자들과 함께하는 신부로, 신학교 교사로, 교구장 비서로 봉직한 그는 1968년 로마 우르바노 대학으로 공부를 하러 떠난다. 후일 교회법 전문가로서 길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1년 반 만에 교회법 석사학위를 받은 그는 방학 때 미국 교회를 방문하는데 이곳에서 자신이 주교로 임명됐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 당시 만 39세였던 그가 주교가 된 것이다. 그는 1970년 가난하고 힘들었던 청주교구장에 취임했다.
정 추기경은 첫 사목 표어는 ‘모든 이에게 모든 것(Omnibus Omnia)’이었다. 그의 적극적인 사목활동으로 1970년 4만8000명에 그쳤던 교구 신자 수는 1990년 8만명으로 불어났다.
그가 서울대교구장으로 부름을 받은 건 1998년이다. 서울대교구장이었던 고(故) 김수환 추기경이 정년을 맞아 교황청에 사직서를 내자 당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이었던 그가 후임 교구장으로 선택된 것이다.
그는 2012년까지 14년간 서울대교구장을 지내며 여러 변화를 끌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대교구장에 임명된 뒤로 신부들의 투표로 교구 지구장을 선출토록 해 지구 중심의 사목 체제를 만들었다.
2000년에는 교구 시노드(synod)를 개최했다. 시노드는 교리와 규율 등을 전반적으로 토의하는 자문기구 성격의 교회 회의체다. 교구 시노드는 1922년 열린 이후 약 80년 만에 다시 개최된 것이다.
정 추기경은 청주교구장 때부터 생명을 사목활동의 맨 앞에 뒀다.
2005년 배아줄기세포연구가 세상의 이목을 끌고 한국 사회에서 생명윤리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던 것을 계기로 서울대교구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2005년 10월 5일 염수정 주교를 위원장으로 하는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를 발족했다. 또 ‘생명의 신비상’을 제정했다.
또한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100억원을 지원키로 결정하며, 반생명적인 사회 흐름에 교회가 소극적인 대응이 아닌 직접적 행동으로 실천하는 면모를 보였다.
정 추기경의 생애를 돌아볼 때 교회법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사제가 된 뒤 신학교 교사를 하며 라틴어를 익혔던 정 추기경은 1968년 로마에서 유학 생활을 하며 교회법을 전문적으로 공부했다.
유학 시절 라틴어-일본어 대역판 교회법전을 접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는 그가 라틴어 교회법전을 한국어로 번역하겠다는 결심을 세우는 계기가 됐다.
청주교구장으로 있던 1983년 교회법 번역위원회를 출범하고, 교회법을 전공한 사제 10여명과 함께 교회법전 번역 작업에 돌입했다. 그렇게 시작한 장도(壯途)는 1989년 라틴어-한국어 대역판 교회법전을 내놓으며 결실을 봤다.
교회법 해설서를 틈틈이 쓰기 시작해 2002년까지 총 15권짜리 교회법 해설서를 완간했다. 20년 가까운 세월을 바친 성과였다.
정 추기경은 매년 책을 쓰는 신부로도 유명했다. 1955년 ‘성녀 마리아 고레티’를 시작으로 그가 우리말로 번역한 역서는 14권이다. 저서로는 1961년 낸 ‘장미꽃다발’부터 2019년 쓴 ‘위대한 사명’까지 총 51권에 이른다.
▲정진석 추기경 약력
1931년 12월 7일 서울 출생
1961년 3월 18일 사제수품
1961년 3월 약현(현. 중림동 약현) 본당 보좌
1961년~1968년 성신고등학교 교사 · 부교장
1965년~1967년 서울대교구 교구장 비서 · 상서국장
1968년~1970년 로마 우르바노대학교 대학원 졸업
1970년 10월 3일 주교수품, 청주교구장 착좌
1970년~1998년 청주교구 교구장
1996년~1999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1998년 6월 29일 제12대 서울대교구장 착좌
1998년~2012년 서울대교구 교구장 · 평양교구 교구장 서리
2006년 3월 24일 추기경 서임
2007년~2012년 교황청 ‘성좌조직재무심의 추기경위원회’ 위원
2012년 5월 10일 서울대교구장 및 평양교구장 서리 퇴임
2021년 4월 27일 선종
20년 가까이 교회법전을 번역하고 해설서를 펴내며 한국 가톨릭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천주교계에 따르면 1931년 12월 2일(호적상 7일) 서울 중구 수표동의 독실한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나흘만인 6일 ‘니콜라오’라는 세례명으로 유아세례를 받았다. 외할아버지가 당시 명동성당 사목회장이었을 만큼 집안 신앙생활은 깊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중앙중학교를 거쳐 6·25 발발 직전인 1950년 4월 서울대 화학공학과에 입학했다. 발명가와 과학자를 꿈꿨지만 전쟁은 그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놨다.
국민방위군으로 입대해서도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긴 정 추기경은 삶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됐다.
정 추기경이 사제가 되기로 한 데에는 책 한 권이 큰 역할을 했다. 그의 첫 번째 역서이기도 한 ‘성녀 마리아 고레티’이다. 정 추기경은 이 책을 계기로 사제가 되어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1954년 신학교에 입학한 그는 1961년 사제품을 받았다. 신자들과 함께하는 신부로, 신학교 교사로, 교구장 비서로 봉직한 그는 1968년 로마 우르바노 대학으로 공부를 하러 떠난다. 후일 교회법 전문가로서 길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1년 반 만에 교회법 석사학위를 받은 그는 방학 때 미국 교회를 방문하는데 이곳에서 자신이 주교로 임명됐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 당시 만 39세였던 그가 주교가 된 것이다. 그는 1970년 가난하고 힘들었던 청주교구장에 취임했다.
정 추기경은 첫 사목 표어는 ‘모든 이에게 모든 것(Omnibus Omnia)’이었다. 그의 적극적인 사목활동으로 1970년 4만8000명에 그쳤던 교구 신자 수는 1990년 8만명으로 불어났다.
그가 서울대교구장으로 부름을 받은 건 1998년이다. 서울대교구장이었던 고(故) 김수환 추기경이 정년을 맞아 교황청에 사직서를 내자 당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이었던 그가 후임 교구장으로 선택된 것이다.
그는 2012년까지 14년간 서울대교구장을 지내며 여러 변화를 끌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대교구장에 임명된 뒤로 신부들의 투표로 교구 지구장을 선출토록 해 지구 중심의 사목 체제를 만들었다.
2000년에는 교구 시노드(synod)를 개최했다. 시노드는 교리와 규율 등을 전반적으로 토의하는 자문기구 성격의 교회 회의체다. 교구 시노드는 1922년 열린 이후 약 80년 만에 다시 개최된 것이다.
2005년 배아줄기세포연구가 세상의 이목을 끌고 한국 사회에서 생명윤리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던 것을 계기로 서울대교구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2005년 10월 5일 염수정 주교를 위원장으로 하는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를 발족했다. 또 ‘생명의 신비상’을 제정했다.
또한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100억원을 지원키로 결정하며, 반생명적인 사회 흐름에 교회가 소극적인 대응이 아닌 직접적 행동으로 실천하는 면모를 보였다.
정 추기경의 생애를 돌아볼 때 교회법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사제가 된 뒤 신학교 교사를 하며 라틴어를 익혔던 정 추기경은 1968년 로마에서 유학 생활을 하며 교회법을 전문적으로 공부했다.
유학 시절 라틴어-일본어 대역판 교회법전을 접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는 그가 라틴어 교회법전을 한국어로 번역하겠다는 결심을 세우는 계기가 됐다.
청주교구장으로 있던 1983년 교회법 번역위원회를 출범하고, 교회법을 전공한 사제 10여명과 함께 교회법전 번역 작업에 돌입했다. 그렇게 시작한 장도(壯途)는 1989년 라틴어-한국어 대역판 교회법전을 내놓으며 결실을 봤다.
교회법 해설서를 틈틈이 쓰기 시작해 2002년까지 총 15권짜리 교회법 해설서를 완간했다. 20년 가까운 세월을 바친 성과였다.
정 추기경은 매년 책을 쓰는 신부로도 유명했다. 1955년 ‘성녀 마리아 고레티’를 시작으로 그가 우리말로 번역한 역서는 14권이다. 저서로는 1961년 낸 ‘장미꽃다발’부터 2019년 쓴 ‘위대한 사명’까지 총 51권에 이른다.
▲정진석 추기경 약력
1931년 12월 7일 서울 출생
1961년 3월 18일 사제수품
1961년 3월 약현(현. 중림동 약현) 본당 보좌
1961년~1968년 성신고등학교 교사 · 부교장
1965년~1967년 서울대교구 교구장 비서 · 상서국장
1968년~1970년 로마 우르바노대학교 대학원 졸업
1970년 10월 3일 주교수품, 청주교구장 착좌
1970년~1998년 청주교구 교구장
1996년~1999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1998년 6월 29일 제12대 서울대교구장 착좌
1998년~2012년 서울대교구 교구장 · 평양교구 교구장 서리
2006년 3월 24일 추기경 서임
2007년~2012년 교황청 ‘성좌조직재무심의 추기경위원회’ 위원
2012년 5월 10일 서울대교구장 및 평양교구장 서리 퇴임
2021년 4월 27일 선종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