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타당성조사 노선도[새만금개발청 제공]
이날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지역 간 연결도로는 동서․남북도로 등 새만금 광역도로의 교통량 분산과 내부용지의 개발촉진은 물론, 투자유치와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도로다.
도로는 내부 간선도로 총 69.86㎞ 중 내부개발을 위해 시급성이 인정된 동서도로에서 스마트 수변도시와 관광레저용지를 연결하는 20.7㎞ 구간으로, 앞으로 약 1년간의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사업시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새만금은 개발면적이 291㎢에 달하는 대규모 종합개발사업으로, 복합개발용지, 관광레저용지 등 지역 간 이격거리(떨어진 거리)가 10㎞ 이상이다.
또한, 지역 간 연결도로가 통과하는 복합개발용지 내 스마트 수변도시(6.6㎢)는 작년에 착공해 2024년 완공 예정이고, 관광레저용지 내 2023 세계잼버리대회 용지(8.9㎢)는 대회(2023년 8월) 이후 관광시설 투자유치가 가속화될 예정이다.
한편, 지역 간 연결도로는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신청을 통해 예타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새만금개발청은 작년 신청 시 상위계획에 국비시행근거가 없다는 지적에 따라 올 2월 새만금 기본계획(MP) 변경 시 지역 간 연결도로의 국비지원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기재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사업과 복합개발용지 내 항만경제특구·그린수소복합단지 구축, 관광레저용지 내 투자유치형 재생에너지 연계사업 등을 설명하며 지역 간 연결도로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집중 설득했다.
지역 간 연결도로 사업은 새만금개발청의 사전 경제성 분석결과(B/C) 1.279로 양호한 것으로 검토돼 사업이 시행되면 총사업비 9191억원 규모의 대형 기반시설 구축사업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양충모 청장은 "지역 간 연결도로 사업이 시행되면 내부 개발용지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어 개발에 속도가 붙고, 더불어 민간투자도 크게 활성화될 것"이라면서, "철저한 준비를 통해 반드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도록 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