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안산소방서 제공]
이날 소방서는 "지속적인 안전대책 추진에도 불구, 반복되는 발코니형 비상구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소방서에 따르면, 지난 3월 시흥시 소재 상가건물 내 위치한 음식점 발코니형 비상구에서 30대로 추정되는 남성 3명이 추락해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또 지난해 울산 남구에서는 폐업 후 방치된 다중이용업소의 비상구 발코니가 붕괴되면서 2명이 추락해 중상을 입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장조사를 통한 행정명령과 사고사례 전파·목적 외 사용금지 안내문 발송 등 교육·홍보에 주력하기로 하고, 위법사항 확인 시 과태료 부과도 병행키로 했다.
발코니형 비상구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4층 이하 영업장에 의무 설치해야 하는 피난설비로, 안산시 562개소 다중이용업소에 발코니형 비상구가 설치돼 있다.

[사진=안산소방서 제공]
아울러 다중이용업소가 휴·폐업을 하는 경우 발코니형 비상구를 폐쇄 또는 철거토록 안내해 위험요인을 차단하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김승남 서장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업소는 그 어느 곳보다 안전관리가 중요하다"면서 "영업주의 지속적 관심과 참여로 비상구 추락사고를 방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