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금리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글로벌 경제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경고등이 켜지면서 장기물을 중심으로 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있다. 장기물 금리 상승은 기준금리 인상 압력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 내부에서도 '선제적 금리인상'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14일 기준 2.158%를 나타내며 2018년 11월27일(2.150%)이후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상반기 한국은행의 '빅컷'(기준금리 큰 폭 인하) 단행 후 8월 1.29%대까지 내려갔으나, 9개월 만에 87bp(1bp=0.01%포인트) 올랐다. 특히 올해 1월 초와 비교하면 4개월 만에 50bp 가까이 급등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징후가 뚜렷해지면서 미 장기금리가 최근 오름세를 보였고, 한국 금리 역시 이에 연동됐다. 미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이 운영하는 경제데이터 시스템(FRED)을 보면,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13일(현지시간) 1.66%를 나타냈다. 지난해 저점을 찍었던 8월 4일(0.52%)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특히 올해 들어서만 70bp가량 치솟았다. 미 장기금리가 오르면서 장·단기 금리차(10년물 금리-2년물 금리)는 147bp를 기록, 2015년 7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장기금리 상승은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징후다. 주요국들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경기 부양책과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하며 시중에 막대한 자금이 풀린 가운데, 백신 보급이 빨라지며 '펜트업(보복) 소비'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여기에 석유를 비롯해 반도체 등 각종 원자재의 일시적 공급 부족 현상이 더해지며 인플레이션 경고 목소리가 커진 상태다.
장기금리가 오름에 따라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졌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으나, 백악관은 지난 11일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연준 의장을 지낸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앞서 지난 4일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금리를 올려야 할지 모른다"라며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한국은행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르는 등 인플레이션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불어난 상황에서 섣불리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한은은 국제유가 급등 영향과 전년 동기 대비에 따른 '기저효과'로 보고 있다. 미 연준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현상일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한은 내부에서도 선제적 금리인상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15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록을 보면 한 위원은 "1분기 중 금융권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관련 대책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겠지만, 금융안정 이슈에 대해 통화정책적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안정 차원에서 금리 상승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