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롤 모델’ 루스벨트 기념관 찾은 이유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워싱턴=공동취재단·서울=김봉철 기자
입력 2021-05-21 00: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알링턴 묘지 헌화 후 ‘깜짝 방문’…손자들이 동행·안내

  • ‘한국판 뉴딜’ 모티브…바이든도 집무실에 초상화 걸어

  • 변호사·가톨릭 공통점…정상회담 전 공감대 쌓기 행보

한·미 정상회담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인근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아 참배에 앞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념관을 방문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감대 쌓기에 나섰다.

양국 정상 모두 존경하거나, 롤 모델로 루스벨트 대통령을 꼽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한국판 뉴딜 역시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서 착안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헌화한 뒤, 인근에 있는 루스벨트 기념관을 찾았다. 이 일정은 당초 계획에 없었으나 뒤늦게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루스벨트 대통령 손자도 동행해 문 대통령을 안내했다.

루스벨트 기념관은 미국의 32대 대통령인 루스벨트를 기념하기 위한 곳으로, 지난 1997년 5월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의해 건설됐다.

기념관은 4개의 야외 전시실로 이뤄져 있다. 방의 개수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당선 횟수를 의미하며, 각 방들은 경제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 등에 직면했던 그의 재임기간을 순서대로 보여준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기념관에는 애완견 팔라(Fala)와 함께 있는 루스벨트 조각상, 휠체어 앉아 있는 루스벨트 조각상뿐 아니라 영부인 엘리노어 로스벨트 동상, 대공황 당시의 상황을 묘사한 동상들도 있다.

문 대통령이 이번 순방 기간 빡빡한 일정을 쪼개 루스벨트 기념관 방문 일정을 마련한 것은 평소 존경해 온 루스벨트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대선 전 발간한 대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에서 닮고 싶은 인물과 존경하는 인물로 루스벨트 대통령을 꼽았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0년대 대공황으로 침체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 정부 개입을 골자로 한 뉴딜 정책을 시행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디지털 뉴딜·그린 뉴딜·지역균형 뉴딜을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을 국정 어젠다로 삼고 추진 중이다.

문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회복·포용·도약이라는 3대 국정운영 비전을 밝힌 바 있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이 뉴딜정책을 추진하며 내세운 핵심 기조인 회복(recovery)·구호(relief)·개혁(reform)과도 맥이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루스벨트 대통령을 롤 모델로 삼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집무실인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 루스벨트 대통령 초상화를 걸고 있다.

경제대공황 시기에 경제 위기를 극복했던 루스벨트 대통령을 롤 모델 삼아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양국 정상은 또 변호사 출신이자 가톨릭 신자라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문 대통령은 오는 21일 첫 정상회담에서 북핵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 코로나 백신 문제, 반도체·배터리 등 경제 협력 등의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에는 미 의회를 방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등 하원 지도부와 간담회를 진행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