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말 ‘중국인구가 14억명 아래로 떨어졌고, 곧 인도가 세계 1위의 인구대국’이 될 것이라는 외신보도가 나오면서 10년에 한 번 진행되는 2021년 중국 제7차 인구조사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리고 5월 11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제7차 인구 센서스 공식통계를 발표했다. 2020년 중국인구(홍콩, 마카오 포함)는 약 14억2000만명으로 전년 대비 1173만명이 증가했다. 10년 전 6차 인구조사 대비 약 7200만명 늘어났지만 인구증가 속도가 확연히 떨어지는 추세다. 지난 10년 연평균 증가율은 0.53%로, 특히 2017년부터 신생아 수가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2020년 신생아 수가 약 1246만명으로 전년 1495만명 대비 약 250만명이 감소했는데 그 속도가 더욱 가파르다. 중국은 개도국 발전전략에 따라 1982년 산아제한 정책을 시행했고, 출생률이 하락하자 2012년부터 부부 중 한명이 독생자일 경우는 3~5년의 터울을 두고 둘째를 낳을 수 있도록 정책을 완화했다. 그리고 2015년부터 2자녀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며 반짝 증가세를 보이다가 다시 2017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한 자녀 산아제한기준을 어기고 불법으로 출생한 호적이 없는 아이들, 이른바 ‘헤이하이쯔(黑孩子)’의 천국이었던 중국이 대전환의 시대에 봉착한 것이다. 이번 중국 7차 인구조사 결과가 주는 의미와 시사점은 무엇일까? 필자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중국 인구감소가 가져올 향후 중국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출산장려정책의 재정·제도 확대 및 농민공 제도개혁 개편이다. 현재 중국 출산장려정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둘째 자녀를 출산할 경우 출산장려금을 받을 수 있으나, 관련 규정에 부합해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둘째 자녀를 출산해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출산장려금의 경우 월급과 해당 지역경제 수준에 따라 금액의 차이가 매우 크고, 실제 수령금액도 얼마 되지 않는다. 장려금 지급방식도 매우 다양하다. 2019년 1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되고 있는 '의료위생영역의 중앙 및 지방 재정권한 및 지출책임 구분개혁방안'에 의하면 지역별로 크게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중앙 및 지방분담금을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시, 구이저우, 충칭, 네이멍구, 티베트 등 1급에 해당하는 지역은 중앙이 80%, 지방이 20%를 분담하는 구조이고, 베이징 및 상하이 등 5급 지역은 중앙이 10%, 지방이 90%를 분담하는 형태이다. 중국은 인구 보너스 효과와 저렴한 인건비의 메이드인 차이나를 기반으로 G2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따라서 적극적인 재정확대와 출산장려정책 도입 및 농민공에 대한 전폭적인 개혁 조치를 통해 최대한 인구감소 위기에 대처하고자 할 것이다.
둘째, 생산인구 감소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의 가속화이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큰 특징은 15~59세 노동가능인구의 감소추세가 매우 뚜렷하다는 것이다. 우선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20년 기준 0~14세 인구가 2억5339만명(17.9%), 15~59세 인구가 8억9438만명(63.4%), 60세 이상 인구가 2억6402만명(18.7%)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경제성장의 허리 역할을 하는 15~59세 생산가능인구가 2010년 대비 6.8% 줄었다. 값싼 농민공에 의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향후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해 임금이 상승하는 ‘루이스 전환점’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임금인상은 기업의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고, 결국 외국기업들의 탈중국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이는 결국 중국경제성장 둔화의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 저출산·고령화의 고착화로 향후 저축률이 떨어질 경우 더욱 큰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2030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대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중국의 노동인구가 감소하는 데 비해 미국은 반대로 이민 유입 확대에 따른 노동인구가 유지될 경우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구조개편이 가시화될 수도 있다.
박승찬 필자 주요 이력
△중국 칭화대 경영전략박사 △주중 한국 대사관 경제통상전문관 및 중소벤처기업지원센터 소장 △사단법인 중국경영연구소 소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