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위탁 생산 계약 양해각서(MOU)가 체결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와 미국 간 ‘백신 협력’의 닻이 올랐다.
코로나19 백신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모더나와 노바백스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백신 생산 협력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계약에 따라 국내 백신 수급에 숨통을 틀 뿐만 아니라,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기지로 주도권을 쥐는 데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 정상이 22일(현지시간) 양국 간 백신 파트너십 구축을 발표한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날 SK바이오사이언스 역시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백신의 개발과 생산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계약에 따라 모더나 백신의 원료 의약품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만드는 완제 공정에 대한 기술 도입에 착수할 예정이다. 아울러 회사는 오는 3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백신 수억회 분량에 대한 바이알(유리병) 무균 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시작할 계획이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전 세계 백신 긴급 수요에 대응해 올해 하반기 초에 상업용 조달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생산 일정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업계 평균 6개월 걸리는 기술이전부터 검증용 배치 생산까지의 기간을 2∼3개월로 단축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간 36만4000ℓ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4공장 완공시 총 62만ℓ)을 갖춘 글로벌 1위 위탁생산 업체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백신을 처음 위탁생산하게 된다. 그동안 잇단 글로벌 수주로 의약품 위탁생산 기술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백신 생산 역시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도 노바백스와 백신 개발 및 생산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사는 코로나19와 독감을 한 번에 잡는 ‘결합 백신’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 개발에 함께 나서며 SK바이오사이언스 생산시설을 활용한 백신 생산에도 협력키로 했다.
앞서 두 회사는 기술 이전 방식으로 백신을 만들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에 공급하는 2000만명분 이외에도 추가적인 백신 물량 생산은 물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백신 연구 역시 함께 진행한다.
◇ 백신 부족 문제 숨통 트이나···“국내 생산 백신 물량 공급 논의 예정”
현재까지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19 백신은 9900만명 물량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이자 3300만명분, 모더나 2000만명분, 노바백스 2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이다. 이밖에 코백스 퍼실리티에서 1000만명분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백신 위탁생산과 미국의 한국군 55만명 백신 제공 합의로, 국내 백신 공급난에도 숨통이 트일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업계에선 오는 3분기부터 백신 수급이 무리 없이 진행될 것이란 예상이다.
특히 정부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도 공급될 수 있도록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23일 정은영 중앙사고수습본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이번 계약에 따라 앞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물량이 국내에 공급되도록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모더나는 국내에 직접 mRNA 백신 생산 시설을 갖출 의지도 갖고 있다. 이에 당초 정부가 2분기 안에 도입하기로 한 모더나 백신 4000만회분의 구체적인 도입 일정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생산시설이 설립되면 백신 공급 시기를 좀 더 앞당길 수 있는 가능성도 점쳐진다.
업계는 정부의 ‘백신 투트랙 전략’에 속도가 붙었다는 평가다.
백신을 국내에서 대량으로 위탁생산하며 당장의 수급을 안정화하면서, 이 기술을 자체 개발해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