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하면 고객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모델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소비자와 판매자 간 이해관계가 첨예한 보험산업에 AI를 도입할 경우 엄격한 데이터 관리와 인간 보편적인 윤리기준에 부합하는지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국내 최대 핀테크 행사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을 맞아 ‘보험산업의 AI 적용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AI와 보험 비즈니스 전망이라는 주제로 주제 발표에 나선 이준섭 한화생명 상무는 "보험산업은 AI를 통해 고객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모델이 변화할 것"이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험사가 금융서비스 플랫폼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보험산업 AI 적용 현황 및 주요 이슈라는 주제로 두번째 발표를 한 홍성호 보험개발원 팀장은 보험산업의 AI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AI 적용 및 개발 측면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했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에 AI를 적용할 때 윤리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험산업의 AI 윤리문제와 윤리기준 제정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김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에서 AI와 데이터 고급분석에 대한 투자가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라며 "국내 보험회사 CEO들은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경영과제로 빅데이터 및 AI 관련 기술활용 제고를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 윤리문제는 공정성·투명성·개인정보 보호·사생활 보호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며 "편향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최적화 대상이 잘못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보험은 소비자 이해관계가 첨예한 분야로 AI 윤리문제 발생 시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해외 보험감독기구인 EIOPA는 가격산출과 언더라이팅 단계에서 공정성과 설명가능성 문제에 대해 매우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며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대표적인 AI 관리체계로 AI 윤리기준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과 EU(유럽연합) 등 주요국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AI 윤리기준을 제정했고, 해외 보험감독기구인 유럽보험연금감독청(EIOPA)과 미국 보험감독관협의회(NAIC)는 윤리기준을 준비 중이거나 발표했다. AI 윤리기준 제정은 체계적인 거버넌스 수립, 엄격한 데이터 관리와 보험가치사슬 각 단계에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AI의 목적 수립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보험산업의 AI 이슈와 관련해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다. 김민기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보험계약·유지, 보험금 청구·심사, 고객 서비스 단계에서 소비자 개인정보·설명 가능성·AI와 인간의 관계에서 마찰 가능성 등과 같은 이슈들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본인의 개인정보 전달방식에 따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수용 정도가 달라지는데(맥락적 진실성),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소비자 민감성을 완화할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본인의 정보를 제공하기를 싫어하면서, 맞춤형 서비스를 원하는 프라이버시 역설(paradox of privacy)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보험연구원은 국내 최대 핀테크 행사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을 맞아 ‘보험산업의 AI 적용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AI와 보험 비즈니스 전망이라는 주제로 주제 발표에 나선 이준섭 한화생명 상무는 "보험산업은 AI를 통해 고객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모델이 변화할 것"이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험사가 금융서비스 플랫폼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보험산업 AI 적용 현황 및 주요 이슈라는 주제로 두번째 발표를 한 홍성호 보험개발원 팀장은 보험산업의 AI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AI 적용 및 개발 측면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했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에 AI를 적용할 때 윤리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험산업의 AI 윤리문제와 윤리기준 제정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김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에서 AI와 데이터 고급분석에 대한 투자가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라며 "국내 보험회사 CEO들은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경영과제로 빅데이터 및 AI 관련 기술활용 제고를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 윤리문제는 공정성·투명성·개인정보 보호·사생활 보호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며 "편향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최적화 대상이 잘못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보험은 소비자 이해관계가 첨예한 분야로 AI 윤리문제 발생 시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해외 보험감독기구인 EIOPA는 가격산출과 언더라이팅 단계에서 공정성과 설명가능성 문제에 대해 매우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며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대표적인 AI 관리체계로 AI 윤리기준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과 EU(유럽연합) 등 주요국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AI 윤리기준을 제정했고, 해외 보험감독기구인 유럽보험연금감독청(EIOPA)과 미국 보험감독관협의회(NAIC)는 윤리기준을 준비 중이거나 발표했다. AI 윤리기준 제정은 체계적인 거버넌스 수립, 엄격한 데이터 관리와 보험가치사슬 각 단계에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AI의 목적 수립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보험산업의 AI 이슈와 관련해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다. 김민기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보험계약·유지, 보험금 청구·심사, 고객 서비스 단계에서 소비자 개인정보·설명 가능성·AI와 인간의 관계에서 마찰 가능성 등과 같은 이슈들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본인의 개인정보 전달방식에 따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수용 정도가 달라지는데(맥락적 진실성),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소비자 민감성을 완화할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본인의 정보를 제공하기를 싫어하면서, 맞춤형 서비스를 원하는 프라이버시 역설(paradox of privacy)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