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8인치 웨이퍼의 부활...“2024년까지 연평균 17% 성장”

  • SEMI "총 660만장 규모 될 듯"...올해 팹 장비 투자액 4조4600억원 예상

12인치(300㎜) 웨이퍼에 밀려 구형으로 취급 받던 8인치(200㎜) 웨이퍼가 부활하고 있다. 

26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월간 8인치(200㎜) 웨이퍼 기반 반도체 생산량은 2024년 총 660만장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약 95만장 증가하는 셈으로, 작년 기준으로 보면 오는 202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7%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 웨이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SEMI는 또 지난해 30억 달러(약 3조3500억원)를 넘어선 8인치 팹(공장)에 대한 장비 투자액은 올해 40억 달러(약 4조460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8인치 팹 생산량 중 50% 이상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국가별로는 중국이 18%, 일본과 대만이 각각 16% 점유율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아짓 마노차 SEMI 최고경영자(CEO)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2024년까지 5G, 사물인터넷(IoT) 장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아날로그, 전력 반도체, 모스펫(MOSFET),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센서 등을 생산하는 신규 8인치 팹이 22개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8인치 팹에 대한 장비 투자는 내년에도 3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올해와 크게 다르지 않은 시장 동향을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전망한 2013년부터 2024년까지의 8인치 반도체 생산 능력(막대그래프)과 팹의 수(선그래프) [그래프=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