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한·미 정상회담 내용 및 성과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우리 군에 대한 미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지원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정의용 장관은 28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국 측의 한국군 55만명에 대한 백신 공급과 관련 "한·미 연합훈련을 위해 공급하기로 했다는 것은, (미국의) 취지가 그렇지 않다"며 "한·미 연합훈련은 백신 공급과 별도로 연합훈련 시기·규모·방식 등은 군 당국과 협의 하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이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군 55만명에게 백신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측의 코로나19 백신 지원 결정을 두고 군 관계자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올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을 염두에 둔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또한 정 장관은 '포괄적인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 "우리 기업이 위탁생산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하는 (코로나19 백신) 물량은 우리 국민에 우선 제공하기로 미국 측에 양해를 구한 것으로 들었다"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양국 간 '스와프'가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선 "(한국이) 재력도 있고, 이미 상당한 (백신) 물량을 확보했기 때문에 지원 명분이 없다고 보고 있다"며 "미국도 처음부터 매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그래서 미국도 우릴 돕기 위한 명분을 찾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며 "(그 결과) 국제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단순한 위탁생산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생산 기반과 미국의 기술·원부자재 공급 등 협업체제를 구축해 백신 생산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정의용 장관은 28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국 측의 한국군 55만명에 대한 백신 공급과 관련 "한·미 연합훈련을 위해 공급하기로 했다는 것은, (미국의) 취지가 그렇지 않다"며 "한·미 연합훈련은 백신 공급과 별도로 연합훈련 시기·규모·방식 등은 군 당국과 협의 하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이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군 55만명에게 백신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측의 코로나19 백신 지원 결정을 두고 군 관계자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올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을 염두에 둔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또한 정 장관은 '포괄적인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 "우리 기업이 위탁생산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하는 (코로나19 백신) 물량은 우리 국민에 우선 제공하기로 미국 측에 양해를 구한 것으로 들었다"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양국 간 '스와프'가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선 "(한국이) 재력도 있고, 이미 상당한 (백신) 물량을 확보했기 때문에 지원 명분이 없다고 보고 있다"며 "미국도 처음부터 매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그래서 미국도 우릴 돕기 위한 명분을 찾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며 "(그 결과) 국제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단순한 위탁생산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생산 기반과 미국의 기술·원부자재 공급 등 협업체제를 구축해 백신 생산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