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과 함께 크는 기업] 재계 10위 중 30%가 외면···ESG경영 장애인 고용부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동 기자
입력 2021-06-01 05: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장애인 고용이 아직 산업권에 완전히 뿌리내리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제도가 도입된 지 14년이 지났지만 국내 10대 대기업그룹 중 30%가 이를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31일 재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산총액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중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한 대기업그룹은 15곳에 불과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기업집단을 71곳으로 발표했음을 감안하면 21.13%만 관심을 기울인 셈이다.

재계 최상위권에서도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대해 무관심한 대기업그룹이 많았다. 자산총액 기준 10위권 대기업집단 중 3곳은 100여개 계열사를 통틀어 어떤 기업도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위권으로 시야를 넓혀보면 13곳으로, 무관심한 대기업그룹이 대폭 늘어나는 것으로 집계된다.

결국 일부 대기업그룹이 다수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운영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LG그룹이 10개사, SK그룹이 7개사, 롯데그룹이 4개사, 삼성그룹이 2개사로 복수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감안하면 일부 그룹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재계 전반에 뿌리내리지는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최근 재계 대부분 기업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표방하고 있는 것과 상당한 차이다. 실제 20위권 대기업집단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이사회 내부에 ESG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제각각 ESG경영을 위해 준비를 마쳤다고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장애인 고용 문제에 대해서는 눈을 돌리고 있는 셈이다. 이를 놓고 재계 일각에서는 대기업그룹의 실천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관계자는 "대기업그룹이 만든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보다 중소기업이 만든 것이 훨씬 많다"며 "제도가 도입된 지 상당기간 지났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 회피하는 대기업그룹이 너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장애인 고용의무제도'를 자회사 설립을 통해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모회사가 장애인 고용을 목적으로 자회사를 설립할 경우, 해당 자회사에서 고용한 장애인을 모회사에서 고용한 것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포스코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포스코휴먼스' 직원들이 세탁업무를 하고 있다.[사진=포스코휴먼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