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전전화(全電化) 시대가 대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운반·보관이 쉽고 전기·열에너지로 전환이 용이한 석유 등 화석연료와 달리 수소, 전기차 전기로만 운영되는 사회는 대규모 정전사태만으로도 국가적 위기를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전환에 앞서 발전소 부족 현상, 전기료 인상에 따른 국민비용 증가 등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체 에너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에너지는 2050년까지 50% 늘어날 전망이다. 탄소중립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전환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는 셈이다.
국내도 정부의 1, 2차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1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탈원전·탈석탄을 추진하고, 2차로 전체 석유 사용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수송에너지를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는 80억 달러(약 8조9000억원)를 투자해 송전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전화에 따른 전력 중단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국내에서는 송전시스템 개선이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효성그룹은 1.5~100㎸의 중압 전기를 직류로 송전하는 재생에너지용 송배전시스템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의 전전화 대책 수립은 아직 초기단계인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통한 전전화 현상, 전기 공급과 관련한 별도의 연구가 시작되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유업계에서는 정부의 에너지전환이 속도만 추구하기보다는 안전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탄소중립은 반드시 이뤄야 하는 과제기도 하지만 급한 에너지전환은 오히려 더 큰 화를 부를 수 있다”며 “석유의 장점은 애써 무시하기보다는 최대한 안전하게 에너지전환을 이루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에너지전환에 앞서 발전소 부족 현상, 전기료 인상에 따른 국민비용 증가 등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체 에너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에너지는 2050년까지 50% 늘어날 전망이다. 탄소중립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전환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는 셈이다.
국내도 정부의 1, 2차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1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탈원전·탈석탄을 추진하고, 2차로 전체 석유 사용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수송에너지를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송전시스템 개선이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효성그룹은 1.5~100㎸의 중압 전기를 직류로 송전하는 재생에너지용 송배전시스템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의 전전화 대책 수립은 아직 초기단계인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통한 전전화 현상, 전기 공급과 관련한 별도의 연구가 시작되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유업계에서는 정부의 에너지전환이 속도만 추구하기보다는 안전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탄소중립은 반드시 이뤄야 하는 과제기도 하지만 급한 에너지전환은 오히려 더 큰 화를 부를 수 있다”며 “석유의 장점은 애써 무시하기보다는 최대한 안전하게 에너지전환을 이루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