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6/08/20210608195518879370.jpg)
지난 2019년 6월 4일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의 한 건설현장에서 열린 '타워크레인 노동자 총파업' 현장 모습[사진 = 김재환 기자]
건설노동조합 타워크레인지부의 경우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소형 타워크레인 안전 조치를 정부가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항의하고 있다.
2년 전 두 차례 총파업에 돌입했던 타워크레인 노조와 국토교통부는 불법 개조된 소형 타워크레인을 퇴출하고 설계 결함이 있는 장비는 등록 말소하는 등 조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노조 측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인천과 광주, 강원, 서울 건설현장에서 8건의 타워크레인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노동자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사고에 연루된 타워크레인은 모두 소형이었고, 이 중 3대는 등록 말소 대상, 2대는 시정조치 대상이었다. 사실상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택배노조는 이날 진행된 2차 사회적 합의가 결렬되면서 파업을 선언했다. 쟁점은 택배 분류와 배송까지 모두 택배기사가 맡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해결과 노동시간 감축에 따른 임금 감소 문제다.
특히 택배노조는 사회적 합의 공식 주체인 우정사업본부가 이유도 밝히지 않고 회의에 불참했다는 점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우정사업본부에 대해 향후 집중 타격 투쟁을 전개하겠다"면서도 "언제든 그 누구라도 대화를 요청하면 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