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철 칼럼] 아날로그 시대의 환상에 갇혀 추락하는 일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상철 동서울대 교수, 전 KOTRA 베이징·상하이 관장
입력 2021-06-15 13: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글로벌 경쟁에서 낙제생으로 전락, 미래 발목 잡혀 -

김상철 전 KOTRA 베이징·상하이 관장, 동서울대 교수

20세기에서 21세기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가장 힘든 시기를 경험하고 있는 국가가 일본이다. 잃어버린 20년이 아닌 30년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회자되고 있을 정도다. 특히 코로나라는 복병을 만나면서 일본 사회가 일반의 예상과는 크게 다르게 휘청거린다. 천재지변 대응, 위생이나 방역 등에서 천하제일이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국가 시스템의 공백과 허점이 공공연하게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부침은 그들의 사정이지만 지켜보는 이웃인 우리에게도 결코 남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우리와 비교해 보면 과거에는 닮은 점이 더 많았지만 요즘 들어서는 다른 점이 속속 생겨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큰 틀에서 보면 일본의 현재가 우리의 가까운 미래 모습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기도 하다.

일본이 추락하고 있는 근본적 이유는 시대정신을 읽는 DNA가 남보다 처지고 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말까지 한창 잘나가던 시절 ‘주식회사 일본’이라는 평가를 들을 정도로 공공과 민간이 일사불란하게 국가 경쟁력을 키워온 것은 익히 알려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글로벌 경쟁에서 낙제생으로 전락하고 있다. 아날로그 시대의 상징물인 ‘일본식 모노쓰쿠리(좋은 물건을 만들어내는 장인정신)’의 환상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탈피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기는 하지만, 사회 전체가 이를 수용하고 적응하는 데에 적잖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이 당면하고 있는 숨겨진 딜레마다.

일본인들은 일찍부터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원칙과 상식의 궤를 지키려는 데에 철저하다. 개인의 이익보다는 단체를 중시하고, 희생도 기꺼이 마다하지 않는다. 남보다 많이 튀지 않고 공동체 속에서 운명을 만들어 가는 집단의식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하다. 국가가 잘나갈 때에는 이런 현상이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난다. 현재 상황은 후자에 가깝다. 자연스럽게 미래에 대한 열정보다는 현실에 안주하려는 성향으로 표출된다. 단적으로 일본 정치를 보더라도 일시적으로 야당이 집권한 적도 있지만, 전통적으로 보수 자민당의 장기 집권이 크게 위협을 받지 않는다. 변화보다 안정을 선호하는 일본인의 성향이 일본 정치를 선진화시키지 못하는 배경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미래 세대들도 대체로 이에 동조한다. 정치적으로도 여당에 대한 거부감이 별로 없다. 과거의 영광을 되찾지 못한다면 현재의 위치만이라도 존속해 주기를 바란다. 급격한 변화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심정의 발로다. 대도시에서 벗어나 지방 중소도시나 농촌을 가보면 아날로그 문화의 타성이 아직도 기승을 부린다. 쇼핑할 때도 카드나 인터넷 결제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팽배해 심지어 동전 지갑까지 일상적으로 지참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현재도 수두룩하다. 그만큼 의심이 많기도 하거니와 아날로그 방식이 정확하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맹신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현상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국가의 성장 동력을 갉아먹는 요소가 되어 갈 길 바쁜 일본의 앞날이 발목 잡히고 있다.

일본과 한국, 닮은 점 많지만 다른 점도 생겨 전략적 협력 시너지 효과 낼 수 있어

불과 20~30년 전까지만 해도 일본을 배우자는 바람이 거세기도 했지만 그런 분위기가 더는 유효하지 않은 듯하다. 우리 내부만 보더라도 중국에 대한 경계심은 강해지고 있는 편이지만 일본에 대해선 오히려 경시하는 풍조까지 비친다. 현 정부 들어 일본과의 관계가 냉각기로 접어들면서 일반인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도 예전 같지 않다. 심지어 일본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서조차 그들과는 처한 환경이 다름을 이유로 일축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이런 배경에는 디지털 전환의 과정에서 일본보다 우리가 한 수 위의 순발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유독 강조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이 국가 경제에 선순환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느냐는 점에서는 다소 의구심이 간다.

요즘 일본의 행보를 보면 수긍이 가는 면이 있다. 독자적인 행동보다는 가능하면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여느 때보다 중시한다. 미국을 철저하게 등에 업고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설정에서도 중국을 의식하여 철저한 실사구시를 전개한다. 한국과의 관계 복원은 다음 정부로 미루고 있는 모양새다. 우리 정부가 일본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지만, 표면적으로 일절 대응하지 않고 있다. 한편으론 국내에서는 올림픽조직위원회(IOC)가 도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면서 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는 강경한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나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 제한 조치 때도 똑같은 목소리를 냈다. 당연한 반응이기도 하지만 좀 더 냉정해져야 한다.

실제로 많은 선진국이나 국제기구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로 공식 표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오랜 기간에 걸쳐 일본이 외교력을 총동원하여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두 개의 지명을 동시에 표기하는 일부 사례가 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수적으로 확연히 밀린다. 우리가 방치했거나, 아니면 역부족이었음을 시인해야 한다.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의 조정을 위한 노력을 백방으로 경주해야 한다. 일본을 무시할 정도로 우리 위치가 올라선 것이 아니다. 일본에 대한 부품·소재·장비 의존도는 여전히 제자리다. 일본이 내색은 하지 않지만, 디지털 전환에서 한발 앞서가고 있는 한국과의 전략적 제휴에 목이 말라 있다. 탈(脫)중국을 위한 거대한 체스판으로 변모하고 있는 글로벌 가치사슬 선점을 위해서라도 일본과의 관계를 풀어야 한다.


 
 
김상철 필자 주요 이력

△연세대 경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Business School Netherlands 경영학박사 △KOTRA(1983~2014) 베이징, 도쿄, LA 무역관장 △동서울대학교 중국비즈니스학과 교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