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한국갤럽과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4일까지 한국·미국·영국·프랑스·독일 등 5개국에서 20명씩 총 100명의 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진행됐는데도 응답자들은 기후위기를 세계가 처한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이어 빈곤, 식수, 질병·감염병, 기아, 인구 문제 순으로 답했다.
국내 대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은 해외 전문가들에게 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국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국내 전문가의 경우 10%에 불과했지만, 프랑스에서는 30%, 미국·영국·독일은 25%로 세 배 가까이 응답이 많았다.
아울러 전문가 10명 중 7명은 기후위기가 무역과 연계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위기 대응과 무역정책을 얼마나 연계시킬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29%가 '적극적으로', 44%는 '어느 정도' 연계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문항에서도 국외 전문가와 국내 전문가 간 인식차가 드러났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80%가 연계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지만, 국내에서는 그 비율이 6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울러 탄소국경세 도입에 따른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저탄소 재생에너지 확대가 80%로 가장 많았다. 이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의 비용 상승에 따른 경쟁력 하락(76%), 저탄소 제품 생산을 위한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60%),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내 탄소세 도입(59%) 순이었다.
탄소국경세 도입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묻는 항목에서는 '재생에너지 확대'(87%), '탄소 저감 신기술 개발'(71%), '탄소세 도입'(68%), '내연기관차 퇴출·전기차 육성'(6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이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기간이 다른 선진국들보다 짧아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고 주장하지만 근시안적인 시각"이라며 "기후위기 대응 차원의 탄소국경세 도입 절차가 진행 중인 미국·유럽과 아직 그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한국에서 전문가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경제연구기관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와 다보스포럼 등 유명 국제경제포럼 참석자 중 경제일반·무역·금융 전문가와 주요 언론사 기자 등을 선정해 전화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