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식품 생산에도 5G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할 방침이다.
한국식품연구원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14개 기관과 공동으로 '5G 기반 식품안전생산기술'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이 과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부처협업 사업으로 한국식품연구원이 총괄과제 수행기관을 맡았다.
농식품부와 과기정통부는 식품가공 산업의 생산시스템 혁신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5G 기반 식품안전생산기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과제는 식품 제조·가공 공정에 필요한 품질·안전 강화와 생산·공정 효율화를 위한 5G 활용 등이다.
총 3개의 연구과제 중 총괄 과제인 본 연구과제는 152억원 규모다. 올해 4월부터 시작해 총 4년 9개월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인 △영상·분광정보 기반 식품품질 결정기술 △인공지능(AI) 활용 데이터 분석 기술 △자동화·로봇 시스템 기술은 식품 분야의 5G 스마트공장 적용을 위한 필수 기술이다. 이를 통해 인구 고령화, 생산인구 감소 등에 따른 인력수급 문제 해결과 단순·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의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연구원은 식품 산업에 D·N·A(Data, Network, AI)를 기반으로 한 5G 스마트 공정을 도입해 식품 제조 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ICT 기술을 활용한 애로공정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연구원은 식품 제조에서 주요 공정에 대한 스마트 제조 핵심기술을 확보했다. 덕분에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