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렌터카가 2025년까지 제주도에 구축하겠다고 밝힌 국내 최대 규모의 전기차 전용 단지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공개하고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SK렌터카는 지난 25일 제주지점에서 ‘제주 여행의 시작, 중간, 마지막을 함께’라는 모토로 국내 최대 전기차 전용 단지 ‘SK렌터카 EV 파크(가칭)’ 조성 선포식을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약 2만3800㎡(7200평) 규모의 제주지점에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를 만들고 서귀포 내에 보유한 부지에 운전 고객, 차량에 충전·휴식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SK렌터카는 제주도에서 전기차를 활용해 남다른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황일문 SK렌터카 대표는 “SK렌터카 EV 파크 조성은 전기차 시장의 본격 성장세에 발맞춰 국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SK그룹이 강조하는 실질적인 ESG 경영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것”이라며 “여행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함께하는 렌터카 기업으로서 고객 감동과 미래 가치를 만들어내는 전기차 전용단지를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SK렌터카는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 복합문화공간 구축에 총 406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현재의 내연기관 차량 3000대를 모두 전기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에는 7200kW급 충전설비, 200여대 차량이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픽업 타워가 들어선다. SK렌터카는 한국전력공사, 커피 전문 브랜드 ‘테라로사’와 복합문화공간 공동 개발을 논의하고 있다.
SK네트웍스가 서울 강동구에 선보인 ‘길동 채움’ 설계·구축을 담당한 실무진들이 SK렌터카에 대거 포진, 고객들에게 쉼을 주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각오다.
SK렌터카 관계자는 “서귀포 부지는 중문 관광단지에 인접해 많은 여행객과 제주도민들이 찾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도내 전기차 충전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SK렌터카 고객뿐 아니라, 타사에서 전기차를 대여한 분들과 전기차를 소유한 도민들 모두에게 전면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렌터카는 이번 EV 파크 조성을 통해 친환경 중심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전기차 3000대를 투입하면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이 1만t 감소한다. 이는 소나무 150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온다. 오존 생성, 스모그 발생, 산림 파괴 등을 초래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약 40t, 폐오일이 4만4000ℓ 줄어든다.
SK렌터카는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 신규 시설에 친환경 건축 공법을 도입, 내년 9월까지 구축할 △픽업 타워 △차량 반납 터미널 △정비동 △사무동 등 4개 건물에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도 검토한다.
단지 내 모든 도로를 친환경 아스팔트로 새롭게 포장하는 등 보다 환경적인 측면의 건축 방법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SK렌터카는 이런 노력을 통해 제주의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 2030’ 만들기에 동참하고 SK그룹이 추진하는 ESG 경영성과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렌터카 관계자는 “SK렌터카 EV 파크 조성을 통해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기여하고, 더 많은 국민의 전기차 선택 확대로 이어지는 기폭제 역할을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SK렌터카는 지난 25일 제주지점에서 ‘제주 여행의 시작, 중간, 마지막을 함께’라는 모토로 국내 최대 전기차 전용 단지 ‘SK렌터카 EV 파크(가칭)’ 조성 선포식을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약 2만3800㎡(7200평) 규모의 제주지점에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를 만들고 서귀포 내에 보유한 부지에 운전 고객, 차량에 충전·휴식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SK렌터카는 제주도에서 전기차를 활용해 남다른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SK렌터카는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 복합문화공간 구축에 총 406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현재의 내연기관 차량 3000대를 모두 전기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에는 7200kW급 충전설비, 200여대 차량이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픽업 타워가 들어선다. SK렌터카는 한국전력공사, 커피 전문 브랜드 ‘테라로사’와 복합문화공간 공동 개발을 논의하고 있다.
SK네트웍스가 서울 강동구에 선보인 ‘길동 채움’ 설계·구축을 담당한 실무진들이 SK렌터카에 대거 포진, 고객들에게 쉼을 주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각오다.
SK렌터카 관계자는 “서귀포 부지는 중문 관광단지에 인접해 많은 여행객과 제주도민들이 찾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도내 전기차 충전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SK렌터카 고객뿐 아니라, 타사에서 전기차를 대여한 분들과 전기차를 소유한 도민들 모두에게 전면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렌터카는 이번 EV 파크 조성을 통해 친환경 중심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전기차 3000대를 투입하면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이 1만t 감소한다. 이는 소나무 150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온다. 오존 생성, 스모그 발생, 산림 파괴 등을 초래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약 40t, 폐오일이 4만4000ℓ 줄어든다.
SK렌터카는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 신규 시설에 친환경 건축 공법을 도입, 내년 9월까지 구축할 △픽업 타워 △차량 반납 터미널 △정비동 △사무동 등 4개 건물에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도 검토한다.
단지 내 모든 도로를 친환경 아스팔트로 새롭게 포장하는 등 보다 환경적인 측면의 건축 방법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SK렌터카는 이런 노력을 통해 제주의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 2030’ 만들기에 동참하고 SK그룹이 추진하는 ESG 경영성과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렌터카 관계자는 “SK렌터카 EV 파크 조성을 통해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기여하고, 더 많은 국민의 전기차 선택 확대로 이어지는 기폭제 역할을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SK렌터카 EV 파크’ 전기차 전용 렌털 센터 조감도. [사진=SK렌터카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