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공유 시장이 급증하면서 편리한 이동을 위해 전동킥보드를 운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전동킥보드에 의한 사고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전동킥보드 사고의 경우 안전모 미착용 사례가 많았던 만큼, 올바른 전동킥보드 이용 문화 정착과 안전운행의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자사에 접수된 사고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접수된 차대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1447건으로 2016년(49건)보다 무려 30배가량 급증했다. 올해도 지난 5월까지 전동킥보드 사고 접수 건수는 777건에 달했다.
피해금액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6년 1억8400만원 수준이던 전동킥보드 사고 피해금액은 2017년 8억1800만원, 2018년 8억8900만원, 2019년 23억원, 2020년 36억6100만원으로 불어났다. 올해도 5월까지 15억9100만원의 피해금액이 발생했다.
성별에 따른 사고 발생건수는 남성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10~30대의 사고 비중이 70% 이상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주로 젊은 남성이 도심지역에서 공유 전동킥보드를 많이 이용하면서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는 127건의 사고영상을 분석한 결과 전동킥보드와 차량 간의 사고는 전동킥보드의 역주행, 신호위반, 횡단 중 킥보드 탑승 등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미준수에 따른 사고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인도를 주행하다가 이면도로 접속구간 또는 주차장 진출입로를 횡단할 때 발생한 사고(26%)와 신호등이 없는 이면도로 교차로에서 서행하지 않은 채 통행하다 발생한 충돌사고(26%)가 가장 많이 발생한 유형이었다.
또 127건 중 111건(87.4%)은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안전모 착용이 필수다.
전동킥보드는 구조상 자전거보다 바퀴가 작고 이용자의 무게중심이 높기 때문에 급정거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용자가 쉽게 넘어져 두부와 안면부 상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전제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근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초기에 올바른 전동킥보드 이용 문화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안전운행 관리감독 강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진= NNA 촬영]
3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자사에 접수된 사고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접수된 차대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1447건으로 2016년(49건)보다 무려 30배가량 급증했다. 올해도 지난 5월까지 전동킥보드 사고 접수 건수는 777건에 달했다.
피해금액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6년 1억8400만원 수준이던 전동킥보드 사고 피해금액은 2017년 8억1800만원, 2018년 8억8900만원, 2019년 23억원, 2020년 36억6100만원으로 불어났다. 올해도 5월까지 15억9100만원의 피해금액이 발생했다.
성별에 따른 사고 발생건수는 남성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10~30대의 사고 비중이 70% 이상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주로 젊은 남성이 도심지역에서 공유 전동킥보드를 많이 이용하면서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는 127건의 사고영상을 분석한 결과 전동킥보드와 차량 간의 사고는 전동킥보드의 역주행, 신호위반, 횡단 중 킥보드 탑승 등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미준수에 따른 사고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인도를 주행하다가 이면도로 접속구간 또는 주차장 진출입로를 횡단할 때 발생한 사고(26%)와 신호등이 없는 이면도로 교차로에서 서행하지 않은 채 통행하다 발생한 충돌사고(26%)가 가장 많이 발생한 유형이었다.
또 127건 중 111건(87.4%)은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안전모 착용이 필수다.
전동킥보드는 구조상 자전거보다 바퀴가 작고 이용자의 무게중심이 높기 때문에 급정거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용자가 쉽게 넘어져 두부와 안면부 상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전제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근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초기에 올바른 전동킥보드 이용 문화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안전운행 관리감독 강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