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사절단, 현대차 전주공장·새만금서 '지역균형뉴딜' 체험

  • 46개국 외교사절단·외신기자단 초청

지난해 6월 전북 완주군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열린 '상용차 수소충전소'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주한 외교사절단과 외신기자들이 전북 지역 대표 '지역균형뉴딜' 사업장인 현대자동차 수소상용차 천주공장과  새만금 육상태양광 개발지구 등을 방문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8일 네덜란드·브루나이 등 10개국 대사를 포함해 미국·영국·프랑스 등 총 46개국 외교사절단·외신기자단 56명을 초청해 '지역균형뉴딜 현장 설명회'를 연다고 7일 밝혔다.

지역균형뉴딜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한국판뉴딜'을 지역 곳곳으로 환산한 개념이다. 지역경제 활력과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

외교사절단은 우선 현대차 수소상용차 전주공장과 전북테크노파크 수소충전소를 둘러본다. 수소차 기술과 수소경제 관련 정책 설명을 듣고, 수소상용차 생산 설비와 수소충전소 현장을 본다.

현대차는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트럭을 생산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를 선도하고 있다. 완주군 내 수소충전소는 국내 최대 규모다. 전북 전주‧완주와 경기 안산, 울산 등은 수소 시범도시다. 생산·이송·주거·교통 등 생활 전 분야에 수소를 적용하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음 방문지인 새만금 옥상태양광 개발지구는 그린수소산업클러스터로 만들어진다. 지난해 말부터 1·2·3구역이 순차적으로 착공했다. 현대차 등 수소상용차 관련 40여개 기업과 함께 내연기관 중심 자동차 산업을 그린모빌리티 산업생태계로 전환하는 '전북 뉴딜계획'이다.

행안부는 전국 17개 시·도가 지역 특성에 맞는 뉴딜계획을 마련하고 조기에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에서 사업 1178건을 제출받아 내년도 국비 반영을 추진하고, 올 3분기 '지역균형뉴딜 우수사례 경진대회'도 개최한다. 우수사업에는 300억원 규모 특별교부세를 지원한다.

앞서 상반기에는 재정투자심사를 3회 추진해 24건·1조4290억원을 승인했다. 심사면제는 5건·1385억원이다. 규제 개선 건의 과제는 84건이 접수돼 24건에 대해 방안을 마련했다.

고규창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지역균형뉴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높은 관심을 이어나가 포스트코로나 시대 행정한류의 새로운 콘텐츠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