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오른쪽)과 김진국 민정수석이 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수석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방역 당국의 대응이 늦지 않았는가’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저희로선 고민이 자영업자나 코로나 때문에 경제적으로 고통 받으시는 분들 많고 (국면이) 장기화 된 사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보통 국민들도 오랫동안 방역수칙을 지켜 피로감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것들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다른 한 쪽에서 이런 현상 벌어졌다”면서 “저희는 집단면역으로 가는 마지막 고비라고 생각하고, 바짝 긴장해서 국민들께 다시 방역수칙을 지키고 이겨내자고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방역은 정치와 정당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면서 “이런(불법) 집회 안 된다고 시종일관 말해왔고, 문 대통령도 이런 입장을 여러 번 천명해왔다”고 강조했다.
이 수석은 “(불법집회에) 안일하게 대응했다는 (주장에는) 수긍 어렵지만,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이완됐던 건 사실인 것 같다”면서 “이쯤 되면 집회를 해도 되는 것이 아니냐는 분위기가 있어서 우리부터 하지 말 것은 하지 말고 협조를 요청해야겠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도쿄올림픽 개회식 참석을 계기로 한 문 대통령의 일본 방문 여부에 대해선 “외교라는 것은 성과가 있어야 서로 움직이는 것”이라며 “아무 성과도 없이 움직일 수는 없는 것이라 무언가 성과가 있다면 당연히 가야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수석은 가짜 수산업자로부터 포르쉐 차량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으로 사표를 제출한 박영수 특별검사에 대해 “본인이 부적절한 처신이 있어서 사퇴한 것”이라며 “이번 건으로 사퇴한 건 분명하지만 본인이 그 전부터 피로감을 호소하며 사직 의사 가졌던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