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철강 시장에 공급이 크게 부족해지면서 국내 철강사가 호황을 맞이했다. 내수 물량을 감당하기도 어려운 환경이 이어지면서 공급자인 철강사가 가격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는 분위기다. 올해 하반기 역시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철강사의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관측된다.
내수시장에서 호실적을 올리고 있지만 수출 측면에서 성장이 어려워지는 것이 변수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이 친환경 관련 규제를 내세워 국내 철강 제품의 수입을 줄여나갈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수출 물량 줄이고 내수에 올인···철강 생산도 역대급
한국철강협회는 올해 상반기 열연 광폭강대(코일) 수출량을 134만9069톤(t)으로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92만2070t보다 29.8% 줄어든 규모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 지역의 수출 규모가 1년 만에 절반(50.3%) 수준인 79만5000t으로 줄었다. 특히 중국 수출량이 728t으로 99.7% 급감했다. 다만 철강 생산에 차질을 빚었던 EU와 미국 수출 규모는 성장세를 보였다. EU 쪽 수출 규모는 올해 상반기 21만2000t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4.5% 늘었고, 미국 수출 규모도 25만6000t으로 107.2%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열연코일 수입량도 전년 동기 151만1898t보다 26.6% 줄어든 110만9884t을 기록했다. 일본산 제품 수입규모가 60만4000t으로 44%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줄었다. 각 철강생산국이 내수 물량을 확보하기 급급한 탓에 코로나19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았던 지난해보다도 수출입 규모가 줄었다.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철강수급이 부족하다는 아우성이 이어지면서 철강사들이 생산량을 크게 늘렸다. 올해 1~5월 기간 동안 열연강판 생산량은 733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96만5000t보다 5.2% 늘었다. 이는 생산량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9년 740만t과 유사한 규모다.
철강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 관계자는 "내수 물량을 우선으로 생산하고 있어 수출을 늘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세계 각국도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어 한동안 수출입 시장 전체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철강사 가격 주도권 확보해 실적 개선 성공···하반기도 장밋빛
이 같은 상황은 공급사인 철강업계에 실적 개선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철강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철강사가 가격 협상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덕이다.
실제 포스코는 올해 들어 매월 열연강판 유통가를 인상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유통가 기준 t당 130만원으로 연초보다 51.1%가량 높은 수준이다.
그 결과 포스코는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으로 2조2006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2분기 대비 1212.22% 증가한 실적을 올렸다. 매출액은 18조29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31% 늘었다. 이는 포스코가 분기 실적을 공개한 2006년 이래 최대 실적이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9조2770억원, 영업이익 1조6100억원을 기록했다. 자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케미칼 등도 세계적 경제회복으로 수요가 늘어 견조한 실적 개선을 이뤘다.
포스코는 상반기 기대 이상의 실적 개선을 이룸에 따라 올해 연결 기준 66조4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매출액인 57조7927억원보다 14.89% 증가한 수치다.
전중선 포스코 부사장은 최근 열린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에서 "연결 기준으로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며 "하반기에는 원료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불확실성이 있지만 철강수급이 타이트한 상황을 지속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실적도 다소 긍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포스코뿐 아니라 대부분 철강사도 이 같은 호실적을 기록할 것을 보인다. 실제 오는 27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할 현대제철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철강업계는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자동차 강판과 조선용 후판 등의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올해 철강사의 실적이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쓸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친환경 규제로 수출길 위협···EU·미국 등 탄소국경세 준비
국내 철강사가 내수시장의 호재에 집중하는 사이에 수출길이 흔들리고 있다. EU와 미국이 친환경 규제를 앞세워 국내 철강제품에 수입제한 조치를 부과하고 있는 탓이다.
실제 EU는 이달 중순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 법안을 발표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EU로 수입되는 제품의 탄소 함유량에 EU ETS(탄소배출권거래제)와 연계된 탄소 가격을 부과해 징수하는 조치다.
탄소 가격 부과 방식은 수입자가 품목별 탄소 함유량에 상응하는 양의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형태다. 탄소 배출량이 많은 수입품은 그만큼 추가 비용이 들어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오는 2023년 초부터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등 5개 분야에 우선 적용되며 3년의 전환 기간을 거쳐 2026년 전면 도입될 예정이다. 전환 기간에는 배출량 등 보고 의무만 부여하고 재정 조치는 이뤄지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철강·알루미늄 기업들이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수출물량 측면에서 주된 영향은 철강에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철·철강의 대(對)EU 수출물량은 221만3680t(수출액은 15억2300만 달러)으로 5개 품목 중 가장 많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철강사 임원들과 화상 간담회를 열고 EU의 정책에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다만 철강업계에서는 국내에서 마련한 대응책이 일부 효과를 내더라도 대규모 탄소국경세를 지불하거나 철강 수출을 다소 줄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최근 미국 등도 탄소국경세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상황이다. 철강·환경 관련 전문가들은 미국도 향후 몇 년 안에 탄소국경세를 본격 도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선진국의 제도 취지는 이해하지만 너무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며 "대규모 장치산업의 경우 탄소절감을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기에 제도 역시 그만큼의 유예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내수시장에서 호실적을 올리고 있지만 수출 측면에서 성장이 어려워지는 것이 변수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이 친환경 관련 규제를 내세워 국내 철강 제품의 수입을 줄여나갈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수출 물량 줄이고 내수에 올인···철강 생산도 역대급
한국철강협회는 올해 상반기 열연 광폭강대(코일) 수출량을 134만9069톤(t)으로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92만2070t보다 29.8% 줄어든 규모다.
올해 상반기 열연코일 수입량도 전년 동기 151만1898t보다 26.6% 줄어든 110만9884t을 기록했다. 일본산 제품 수입규모가 60만4000t으로 44%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줄었다. 각 철강생산국이 내수 물량을 확보하기 급급한 탓에 코로나19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았던 지난해보다도 수출입 규모가 줄었다.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철강수급이 부족하다는 아우성이 이어지면서 철강사들이 생산량을 크게 늘렸다. 올해 1~5월 기간 동안 열연강판 생산량은 733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96만5000t보다 5.2% 늘었다. 이는 생산량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9년 740만t과 유사한 규모다.
철강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 관계자는 "내수 물량을 우선으로 생산하고 있어 수출을 늘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세계 각국도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어 한동안 수출입 시장 전체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은 공급사인 철강업계에 실적 개선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철강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철강사가 가격 협상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덕이다.
실제 포스코는 올해 들어 매월 열연강판 유통가를 인상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유통가 기준 t당 130만원으로 연초보다 51.1%가량 높은 수준이다.
그 결과 포스코는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으로 2조2006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2분기 대비 1212.22% 증가한 실적을 올렸다. 매출액은 18조29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31% 늘었다. 이는 포스코가 분기 실적을 공개한 2006년 이래 최대 실적이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9조2770억원, 영업이익 1조6100억원을 기록했다. 자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케미칼 등도 세계적 경제회복으로 수요가 늘어 견조한 실적 개선을 이뤘다.
포스코는 상반기 기대 이상의 실적 개선을 이룸에 따라 올해 연결 기준 66조4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매출액인 57조7927억원보다 14.89% 증가한 수치다.
전중선 포스코 부사장은 최근 열린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에서 "연결 기준으로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며 "하반기에는 원료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불확실성이 있지만 철강수급이 타이트한 상황을 지속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실적도 다소 긍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포스코뿐 아니라 대부분 철강사도 이 같은 호실적을 기록할 것을 보인다. 실제 오는 27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할 현대제철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철강업계는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자동차 강판과 조선용 후판 등의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올해 철강사의 실적이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쓸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친환경 규제로 수출길 위협···EU·미국 등 탄소국경세 준비
국내 철강사가 내수시장의 호재에 집중하는 사이에 수출길이 흔들리고 있다. EU와 미국이 친환경 규제를 앞세워 국내 철강제품에 수입제한 조치를 부과하고 있는 탓이다.
실제 EU는 이달 중순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 법안을 발표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EU로 수입되는 제품의 탄소 함유량에 EU ETS(탄소배출권거래제)와 연계된 탄소 가격을 부과해 징수하는 조치다.
탄소 가격 부과 방식은 수입자가 품목별 탄소 함유량에 상응하는 양의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형태다. 탄소 배출량이 많은 수입품은 그만큼 추가 비용이 들어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오는 2023년 초부터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등 5개 분야에 우선 적용되며 3년의 전환 기간을 거쳐 2026년 전면 도입될 예정이다. 전환 기간에는 배출량 등 보고 의무만 부여하고 재정 조치는 이뤄지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철강·알루미늄 기업들이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수출물량 측면에서 주된 영향은 철강에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철·철강의 대(對)EU 수출물량은 221만3680t(수출액은 15억2300만 달러)으로 5개 품목 중 가장 많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철강사 임원들과 화상 간담회를 열고 EU의 정책에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다만 철강업계에서는 국내에서 마련한 대응책이 일부 효과를 내더라도 대규모 탄소국경세를 지불하거나 철강 수출을 다소 줄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최근 미국 등도 탄소국경세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상황이다. 철강·환경 관련 전문가들은 미국도 향후 몇 년 안에 탄소국경세를 본격 도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선진국의 제도 취지는 이해하지만 너무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며 "대규모 장치산업의 경우 탄소절감을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기에 제도 역시 그만큼의 유예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