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서울 지하철 1~8호선 내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을 본격 실시한다.
공사는 지난달 29일부터 입찰공고를 시작했으며 이달 12일까지 해당 역사의 부역명을 구매해 광고할 사업자를 공개 입찰을 통해 모집한다고 2일 밝혔다. 역명병기란 개별 지하철 역사의 주역명에 더해, 주역명 옆 또는 밑 괄호 안에 부역명을 추가로 기입해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판매 대상은 환승역인 을지로4가(2·5호선), 노원(4·7호선)을 포함해 뚝섬역·역삼역(2호선), 발산역(5호선), 내방역(7호선)으로 총 8개 역이다. 사전 수요조사·원가조사를 거친 결과 사업 추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역들이다. 지난 5월 사전 안내 시 예상했던 5개 역보다 그 수가 늘어났다.
역명병기 입찰에 참여하려면 해당 기업 및 기관이 대상 역에서 500m 이내(구간 내 적절한 기업이나 기관이 없으면 1km 이내로 확대)에 위치해야 한다.
낙찰자는 3년 동안 원하는 기관명을 대상 역의 부역명으로 역사 외부 안내판부터 승강장 폴사인 역명판, 전동차 안내방송 등 총 10곳에 표기·표출할 수 있다. 이후 희망할 경우 재입찰 없이 1회에 한해 3년간 계약 연장이 가능하다.
다수 기관 입찰 시 응찰금액이 동일할 경우, 공익기관, 학교, 병원, 기업체, 다중이용시설 순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입찰 후 역명병기 심의위원회를 거쳐 낙찰기관이 최종 결정되며, 60일간 부역명을 교체하는 준비기간을 거친다.
김석호 서울교통공사 신성장본부장은 "역명병기는 해당역이 가지는 지역의 상징성을 가져가 브랜드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라며 "많은 기관과 기업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