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환경의 가속화로 5G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와 민간기업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5G를 사회 전반에 확대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제5차 범부처 민관합동 5G+ 전략위원회를 화상으로 열고 5G 융합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임혜숙 장관을 비롯해 이동통신 3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5G 활용법에 따라 디지털 전환의 속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 주요국은 신속한 디지털 전환을 위해 5G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서비스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전략위는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격차 해소, 국민안전·소상공인 보호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5G 적용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스쿨 △산업현장 안전사고 예방 △이동형 의료서비스 △사각지대 없는 치안 서비스 △메타버스 마켓 등을 제시했다.
특히 그간 추진된 기술개발과 실증 성과를 바탕으로 5대 핵심서비스 분야에 대한 후속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5대 핵심서비스는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실감콘텐츠,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이다.
실제 5G 핵심서비스에 대한 범부처 협업 결과 실감 콘텐츠를 문화시설이나 공군비행장에 적용하는 성과를 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스마트시티 관련 지역공공시설물 관제 실증사업을 실시했으며, 오는 2025년까지 5G 기반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결격사유를 완화해 사업자 참여를 유도하고, 5G 특화망 활성화를 통해 민간의 투자 촉진과 융합서비스 창출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5G 융합서비스 확산을 위해 5G 적용 현장을 현재 195개에서 26년까지 3200개로 늘리기로 했다. 5G 융합서비스 전문기업도 94개에서 26년에 1800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선 5G 확산을 위해 노력한 민간기업들의 우수사례도 공유했다. 한미정밀화학은 5G 기반 생산·물류 관련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고장 등 이상 징후를 확인하는 기능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 영상 솔루션 업체 포디리플레이(4DREPLAY)는 ‘4DLive 영상솔루션’을 개발했다. 이는 수십대의 카메라를 다각도에서 촬영한 후 다시점 영상(360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하거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제작하는 기술이다. 포디리플레이는 해당 기술을 일본과 캐나다에 수출하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임 장관은 “G7 정상회의에서 5G 분야 협력이 강조되는 등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 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