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 해 동안 출생아가 100명도 되지 않는 지방자치단체가 최근 5년 사이에 5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0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22%인 50곳이 연간 출생아 수가 200명을 넘지 않았다.
출생아가 100명 미만인 지방자치단체도 17곳으로 2015년 3곳과 비교해 5년 사이 14곳이나 증가했다.
연간 출생아 100명 미만 시군구는 2015년엔 경북 군위군·영양군·울릉군 3곳이었다. 2020년에는 부산 중구, 인천 옹진군, 강원 고성군·양양군, 충북 괴산군·단양군, 충남 청양군, 전북 무주군·장수군, 전남 곡성군·구례군, 경북 청송군, 경남 의령군·산청군이 추가됐다.
이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울릉군의 신생아가 30명으로 가장 적었고 영양군(52명), 군위군(59명), 곡성군(68명), 단양군(74명), 괴산군(78명) 등은 80명에도 못 미쳤다.
다만 괴산군(0.67)과 단양군(0.78) 외엔 합계출산율은 전국 평균인 0.84를 웃돌았다. 인구 수 자체가 적어 출생아 수 또한 적었던 셈이다.
연간 출생아 100명은 넘겼으나 200명 미만인 지자체도 33곳에 달했다. 이들 중 강원도 평창군(109명), 충북 보은군(112명), 전남 진도군(110명)·보성군(127명)·강진군(129명), 경북 고령군(100명)·봉화군(108명)·청도군(112명), 경남 남해군(105명)·함양군(105명)· 합천군(107명) 등은 100명을 간신히 넘겼다.
반면 현재 수준의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 2.1명이 넘는 지자체는 지난해 전남 영광군(2.46)이 유일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시도 중 합계출산율은 서울이 0.64명으로 가장 낮았다. 구별로는 관악구(0.47명), 종로구(0.52명), 광진구(0.53명), 강남구(0.54명), 강북구(0.55명), 마포구(0.59명), 도봉구(0.60명), 용산구(0.63명) 등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극심한 저출산을 기록했다.
부산에서는 중구(0.45명)와 영도구(0.58명)의 출산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