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데이터는 디지털 시대의 쌀. 생산 주체인 개인에게 혜택 돌려줘야” 강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1-09-08 17: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기도, 8일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행사’ 온라인으로 개최

  • 팀 버너스-리 경의 기조 강연 등 국내외 강연과 토론 진행

8일 오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21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8일 “거대 기술기업들은 개인이 생산한 데이터를 활용해 막대한 수익을 얻지만 개인은 아무런 대가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데이터 생산 주체인 개인에게도 혜택을 돌려주는 디지털 선순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마이데이터글로벌이 공동주관하는 ‘2021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이 이날 온라인으로 개최됐으며 행사는 경기도 유튜브 채널 및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홈페이지를 통해 생중계됐다.

이 지사는 이날 개회사를 통해 “누가 언제 어디로 이동하는지, 누가 언제 무엇을 얼마나 구매하는지 등으로 교통량을 분석하기도 하고 경제효과를 산출할 수도 있는 등 데이터가 누적되면 매우 가치있는 정보가 된다”며 “그래서 데이터는 디지털 시대의 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앞으로 데이터의 경제적, 사회적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고 거대 기술기업은 개인이 생산한 데이터를 활용해서 더 막대한 수익을 얻을 것”이라며 “그러나 데이터의 생산 주체이자 주인인 우리 개인들은 아무런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권리가 평등하게 보장되면서 혜택을 기여한 만큼 합리적으로 나누는 공정한 세상을 꿈꾸고 있다”며 “이제 데이터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데이터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앞으로의 혜택은 기업뿐 아니라 데이터 생산 주체에게도 돌려줘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번 행사는 ‘나의 정보가 곧 나의 권리(My Data, My Right)’라는 슬로건으로 데이터 경제시대 나의 데이터에 대한 권리 확보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

기조연설을 맡은 월드와이드웹(www)의 창시자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 경은 ‘디지털 세계의 변화와 데이터 주권’이라는 주제로 30여분간 강연을 펼쳤다.
 

 8일 오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 송하진 전라북도지사(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장),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민기영 한국데이터 산업진흥원장, 유승경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등이 2021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점등 세리머니 및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

그는 “개인정보의 이용과 남용이 심각한 현재의 인터넷은 자신의 데이터를 통해 보다 많은 권한을 얻고 그 데이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돼야 한다”며 자신이 진행하고 있는 ‘솔리드(SOLID)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다.

솔리드 프로젝트는 새로운 인터넷 플랫폼인 ‘솔리드(Solid)’를 개발해 거대 IT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현재 인터넷 구조를 혁신하고 개인에게 데이터 주권을 돌려줄 수 있는 서비스로 데이터의 저장 및 공유방식, 개인과 조직이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재설계했으며 여기서 소수 기업이 개인정보를 축적·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축적·소유·통제 가능해 인터넷 활용에 있어 개인의 권한이 커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후 세션에서는 데이터 주권에 대한 국내외 전문강연과 토론회가 개최됐다.

△박주석 마이데이터 코리아 허브 대표의 ‘데이터 주권 회복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카트리나 도우(Katryna Dow) 마이데이터글로벌 이사 겸 미코(Meeco) 대표이사의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한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 모델’ △비비 라티노야(Viivi Lähteenoja) 마이데이터글로벌 선임고문의 ‘데이터 주권 회복을 위한 글로벌 시민운동’ 등이 강연이 이어졌다.

‘데이터 주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마이데이터 코리아 허브 대표를 맡고 있는 박주석 경희대 교수를 좌장으로 전승현 경기도 데이터정책과장, 권헌영 4차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특별위원, 김상윤 중앙대학교 교수, 경기도 데이터 주권 서포터즈 대표 김효림 학생이 패널로 참여해 △데이터경제 확산에 따른 기업과 소비자의 역할 및 권리의 변화 △데이터주권시대 정부의 역할 △지방정부의 데이터주권 활동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