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이 대폭 성장하며 각광을 받는 반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규제에 가로막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말 그대로 의료·헬스케어 서비스가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미국(46%), 일본(15%), 캐나다(70%) 등에서 비대면 진료 이용률이 대폭 늘어난 반면 한국의 비대면 진료 이용률은 0.2% 수준으로 사실상 시장 성장의 동력을 상실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에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인 비대면 진료·처방과 의약품 배송이 법으로 엄격히 금지된 탓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혁신적인 사업 모델을 구상하고도 국내에선 시도도 하지 못한 채 미국, 동남아, 중동 등 해외로 눈을 돌리는 벤처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벤처기업 협회는 한국의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 출범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발전을 위해 앞장설 계획이다.
벤처기업협회는 10일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에서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향후 국민 건강 증진과 디지털헬스케어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발굴·제안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는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인과 관련 전문가, 시민단체 등 110여 회원사와 함께 벤처기업협회가 주관해 운영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정부·기업 간 소통 촉진 △비대면 진료 △바이오·ICT 융합 의료기기 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와 규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규제개선이 가장 시급한 과제인 만큼, 정부, 국회, 의료계 등과 협력해 디지털헬스케어 정책‧제도 개선 추진을 위해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외 기업, 시민단체 등과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규제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세미나도 진행됐다.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준환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의료계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 못 하는 사실"이라며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이런 흐름을 지속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이를 위해선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지원은 물론 보상체계도 뒤따라야 한다"고 제언했다.
라이프시맨틱스 손동천 팀장은 “주요 국가의 비대면 의료 시장은 점진적으로 제도화와 서비스 침투가 이뤄지던 비대면 진료가 코로나를 기점으로 대폭 성장했다”며 “비대면 진료 플랫폼 중심의 통합 서비스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현존하는 우려를 불식 시켜 나가는 방향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성지 웰트 주식회사 대표는 “다양한 디지털 치료 기술이 보급되어 널리 쓰이려면, 비대면 진료를 비롯한 합리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정비가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디지털헬스케어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재활치료서비스’를 주제로 발표를 맡은 반호영 네오펙트 대표는 “고령화 시대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의료인력 부족 문제 등을 기술의 혁신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