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 이번 세외수입 체납자 대상 암호화폐 압류로는 전국 최대 규모다.
도는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세외수입 100만원 이상 체납자 2만9656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와 보유내역 전수조사에 착수해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
우선 도는 가상화폐 거래소의 경우 회원 주민등록번호가 아닌 성명과 생년월일만 수집·보유해 재산 은닉에 악용될 수 있는 만큼 회원가입 시 본인인증 절차에 사용된 휴대전화 번호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이들의 총 체납액은 144억원에 달한다.
고양시 의류도매업자 ‘A’씨는 암호화폐 5억원을 보유하고 있었는데도 지난해 공장 불법 증축으로 인한 이행강제금 2000만원을 내지 않고 있다가 이번 조사에서 덜미를 잡혔다.
남양주시에 있는 냉동식품업체 대표 ‘B’씨는 2017년에 사업장을 창고로 불법 용도 변경해 부과된 이행강제금 등 4000만 원을 체납하고도 도지코인 등 암호화폐 6억원을 은닉한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남양주시 부동산임대업자 ‘D’씨는 2018년부터 동식물 관련 시설 불법 증축과 토지형질 불법 변경으로 인한 이행강제금 5000만원을 체납하고도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6000만원을 보유한 사실이 드러났다.
도는 이번에 적발한 암호화폐에 대한 압류 절차를 마쳤고, 이들의 자진 납부 유도를 통해 세외수입 체납액을 징수할 예정이며 납부하지 않을 경우 압류한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추심절차를 진행한다.
김민경 도 조세정의과장은 “최근 몇 년간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암호화폐로 재산을 은닉한 세외수입 체납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이들에 대한 징수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지방세와 더불어 지방세외수입도 지방재정의 핵심 재원이지만 납부 의무에 대한 의식 결여가 가장 큰 문제여서 새로운 징수 방법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체납액을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