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아파트를 마련하고 싶은데 제 청약가점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요. 도시형 생활주택이 생각보다 입지도 좋고 아파트에 비해 경쟁률도 낮아서 청약을 고려하고 있습니다."(29세 직장인 A씨)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주택 공급 부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아파트 대체 상품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아파트에 비해 청약에 제한이 적으며, 입지도 좋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21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도시형생활주택은 올해 들어 평균 59.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1995가구 분양에 11만8763건이 접수된 것이다. 지난해 평균 경쟁률(9.97대 1)의 약 6배에 달하는 수치다.
도시형생활주택은 2009년 이명박 정부시절인 1∼2인 가구와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전용면적 85㎡ 이하, 300가구 미만으로 도입됐다. 당시 정부는 신속한 공급을 위해 소음방지대책 수립, 동간 이격거리 기준이나 주차장 설치 기준 등을 완화했다. 또한 도시형생활주택은 주택 수에는 포함되지만, 청약통장이 필요 없고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청약할 수 있다.
아파트를 대체하는 대표적인 상품인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도 뛰고 있다. 리얼투데이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청약 접수일 기준)을 집계한 결과, 2만1594가구 모집에 26만3969명이 접수하며 12.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록인 13.21대 1(2만7761가구 모집, 36만6743명 접수) 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지만 2019년 3.11대 1(1만2697가구 모집, 3만9481건 접수)보다 약 4배 가량 높은 수치다. 또한 최근 정부가 오피스텔 바닥 난방 규제 완화를 발표해 오피스텔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은 "아파트 가격이 치솟고, 1~2인가구로 가구가 분화하는 상황에서 최근 주거용 오피스텔 등 아파트 대체 상품 인기가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오피스텔은 분양가상한제 규제를 받지 않는 상황에서 오히려 인근 아파트 시세보다 높게 분양가가 책정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도 대부분 청약이 마감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제출한 2016년 이후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분양보증서를 발급받은 1809개 사업장의 평당 분양가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분석한 결과 3.3㎡당 분양가 상위 10위 사업장 중 상위 8개 사업장이 도시형생활주택 사업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분양보증을 받은 사업장 가운데 3.3㎡당 분양가가 가장 비싼 사업장은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에 공급되는 더샵 반포 리버파크 도시형생활주택였다. 3.3㎡당 분양가는 무려 7990만원, 가구당 분양가는 17억1156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6월 분양한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보다도 경쟁률이 높았다.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의 3.3㎡당 분양가는 5280만원으로 더샵 반포 리버파크 도시형생활주택의 평당 분양가보다 2717만원이 저렴했다.
올해 상반기에 분양한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의 분양가는 전용 84㎡ 기준으로 아파트가 4억4034만∼4억80867만원이었지만, 오피스텔은 9억1660만원에 달했다. 해당 오피스텔은 평균 경쟁률 82.9대 1을 기록했다.
다만 대체형 상품들은 아파트에 비해 수요가 적어,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진형 교수는 "주거용 오피스텔 등 아파트를 대체하는 상품은 아무래도 아파트에 비해서는 수요가 적어 시장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투자할 때 주변환경이나, 새로 들어올 공급 등을 고려해야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