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은행권 금리인하요구권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2020년 국내 19개 은행에서 금리 인하를 요구해 대출 금리를 낮춘 고객 수는 총 75만9701명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6년 11만5629명에서 2017년 9만5903명으로 줄었다가 2018년 11만5233명, 2019년 20만7455명, 2020년 22만5481명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8만5720명까지 포함하면 5년 반 동안 총 84만5421명에 달한다.
금리인하요구권은 지난 2019년을 기점으로 법적 권리로 자리잡았는데, 비대면으로 신청과 약정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개선되면서 혜택을 보는 소비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대비 은행의 수용 건수는 완만히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연도별 금리인하요구권 접수 건수는 2016년 11만9361건, 2017년 16만1764건, 2018년 28만5127건, 2019년 54만9609건, 2020년 71만4141건으로 5년간 498.3% 급증했다. 반면 은행의 수용건수는 2016년 11만5629건에서 2020년 22만5481건으로 95%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을 연도별로 보면 2016년 96.9%, 2017년 59.3%, 2018년 40.4%, 2019년 37.7%, 2020년 31.6%로 해마다 줄었으며, 올해 상반기의 경우 수용률이 25.1%까지 떨어졌다.
한편, 5년간 고객이 절약한 대출이자는 1조7197억원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