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세종을)에게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지역별 갭투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5% 수준이었던 서울의 갭투자 비율은 올해 43%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이중 절반에 가까운 1만7539건(48%)은 전체 거래금액의 70% 이상이 보증금 승계로만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매매 금액의 70% 이상이 보증금으로 이루어진 경우, 집값 하락 시 집값보다 전세보증금이 높아질 수 있어 보증금 반환이 어려운 '깡통전세'의 위험이 있다고 본다.
이런 현상은 서울뿐 아니라 부산, 대구 울산 세종 등 전국적으로 심각한 상황이다. 올해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한 거래의 27.9%가 갭투자로 이뤄졌는데 이 중 52%가 임대보증금이 전체 거래금액의 70%를 넘는 거래였다.
자기 돈을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집을 매입한 경우도 전국적으로 1만4525건(9.4%)이었다.
강준현 의원은 "집값의 10~20%만으로 주택을 매매한 갭 투자자들은 집값이 떨어지면 당장 세입자에게 돌려줄 전세보증금이 그대로 빚으로 남게 되고, 이는 곧 세입자의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충분한 주택공급을 통해 수요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무주택자들의 주거안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