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물실험 단계인 전임상시험 지원을 강화해 백신과 신약이 더욱더 빨리 시장에 나올 수 있게 돕는다. 합성생물학 생태계를 만들 'K-바이오파운드리'도 구축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오전 경기 성남시 판교로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제15차 혁신성장 빅(BIG)3 추진회의'를 열었다.
홍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바이오벤처기업 등에 맞춤형 원스톱 전임상서비스를 제공해 백신·신약 후보물질이 신속한 전임상을 거쳐 조기에 임상시험에 진입할 수 있게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백신 제품 등의 전임상을 지원했다. 전임상 지원 비율은 35.2%다. 정부는 해당 제도를 '전임상시험 통합시스템'으로 정착시킬 방침이다. 2022~2026년에는 '국가 전임상 지원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당장 내년부터 2023년까지 바이러스 연구자원센터와 영장류 실험시설 등도 추가한다.
바이오 의약품·원부자재도 세금을 유예하고 수입 신고가 필요 없는 보세공장 반입 대상에 넣는다. 현재 바이오의약 분야 보세공장은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등 2곳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바이오 의약품·원부자재는 짧은 보관 기간과 적정온도 유지 관리 필요성 등으로 신속한 통관이 기업경쟁력으로 연결된다"며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비중이 크게 확대함에 따라 중요성이 더 부각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는 업체 비용 부담이 연간 20억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D-B-T-L'로 일컫는 설계(Design)·제작(Build)·검증(Test)·학습(Learn) 등 합성생물학 전 과정을 고속·자동화한 K-바이오파운드리도 새로 만든다.
미래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결정할 합성생물학 기술 확보를 위해서다. 합성생물학은 인공적으로 생명체계를 설계·제작·합성하는 분야다.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산업 전 분야 흐름과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미국 혁신경쟁법도 10대 핵심기술로 꼽았다.
정부는 국비 5998억원과 민간 854억원 등 총 6852억원을 투자해 2023년부터 K-바이오파운드리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간다. 홍 부총리는 "인공세포 설계·제조 원천기술과 바이오 제조 시간·비용은 2분의 1로, 혁신신약·소재 연구개발 효율은 2배로 높일 것"이라며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