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세미오이 활용방법 설명판.[사진=국립생태원제공]
이번 생태교육은 ‘탄소빼기, 식물더하기’라는 기획전시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식물의 가치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기후변화와 플라스틱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기, △생태계의 가치와 소중함을 인식하고 탄소중립 실천에 대해 알아보기 등으로 구성됐다.
교육 참여자는 수세미오이, 무환자나무, 모시풀, 아주까리 등 예전에 우리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됐으나 플라스틱이나 화학제품 소재에 밀려 사용이 뜸해진 여러 가지 식물들의 가치와 활용법을 체험을 통해 배울 수 있다.
생태교육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월요일 휴무) 13:30~14:00, 14:10~14:40, 14:50~15:20 일일 3회 국립생태원 교육강사가 운영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관람객은 현장에서 무료로 접수하면 된다.
또한, 모시풀은 줄기껍질을 가는 실로 쪼개고 엮어서 모시옷을 만들었으며, 아주까리 씨앗에서 추출한 피마자 오일을 이용하여 천연세제와 비누를 만들어 실생활에 활용되고 있다.
반면에 대량생산과 편리함으로 인해 천연 소재품을 대체한 플라스틱이나 계면활성제 등은 나날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자연 분해가 어려워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희천 전시교육실장은 “이번 기획전시와 교육을 통해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물의 가치에 대해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생태주제의 기획전시 및 연계 생태교육 운영으로 관람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