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서울특별시민, 경기도민, 인천광역시민이 느끼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이른바 지방에 살아 본 사람 아니면 전혀 알 수 거란다. 서울과 남쪽 광역시 두 곳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벤처기업가는 두 곳의 차이를 한국과 외국으로 비유할 정도다.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한국인’이 원하는 문화,교육,의료 등의 차이가 워낙 크다는 거다. 하지만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도 북부로 이주해 살고 있는 경험자 입장에서 서울과 '경기북도'의 차이는 결코 작지 않다. 경기 북부 지역을 수도권이라고 해야할지 아리송할 때가 많다.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지역균형발전은 ‘초광역 메가시티’ 구상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메가시티는 인구 1000만명 이상의 거대 도시를 말하는데 행정구역 상 한 도시가 아닌 실질적인 경제생활권을 뜻한다. (참고로 서울 인구는 올 9월 현재 올 9월 현재 955만명이다.) 메가시티는 세계적으로 성공사례가 많다. 미국 실리콘밸리는 캘리포니아 베이지역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일대 도시들이 결합한 곳이다. 영국 런던과 맨체스터, 프랑스 파리도 중앙 정부의 지역 지원 정책으로 슈퍼메가시티가 됐다. 일본은 도쿄에 맞서는 간사이 광역 연합이 있다.
각 지방 제각각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고 정부도 확실한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메가시티를 ‘특별지방자치단체’로 특별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부처 합동 ‘범정부 초광역 지원협의회’를 만들어 특별지자체에게 막대한 예산 지원과 관련법 정비, 세제 혜택, 교통망 정비, 대학 설립 등을 예고했다.
▶내년부터 고양시는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에 주어지는 ‘특례시’다. 광역시 수준의 행정과 재정 권한을 갖게 된다. 이재준 고양시장을 필두로 조광한 남양주시장, 최종환 파주시장, 안병용 의정부시장, 이성호 양주시장과 함께 경기북부 평화메가시티를 추진하면 어떨까. 경제와 평화를 합하는 개념으로 말이다.
이를 위해 중앙 정부에 수도권에 가해지는 각종 규제를 경기북부권만큼은 세밀하게 재검토해달라고 요청할 필요가 있다. 또 수도권순환도로, 자유로, GTX 등과 연계되는 교통망을 더 촘촘히 해달라고 등등. 북한과 맞닿아 있는 비무장지대(DMZ)를 되레 장점으로 살리는 것도 좋을듯하다. 남북경제협력, 환경과 평화의 의미를 담은 ‘평화특별광역시’로 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